본문 바로가기

씀바귀 Lxeris dentata

항암, 항스트레스, 항알레르기, 피로회복, 노화방지에 신효한 씀바귀

씀바귀는 다년생의 풀로써 시골 들판 논두렁 어디에든 흔하게 널려있다.

쓴귀물, 싸랑부리, 쓴나물, 싸랭이 라고도 부른다. 생약명은 고채, 활혈초, 황과채 등으로 불린다.

줄기에서 자라나는 잎과 뿌리에서 자라나는 잎이 있다. 잎이나 줄기를 잘라보면 쓴맛이 강한 흰즙이 흐른다.

꽃의 지름은 1.5센티미터 안팎이고 노란색의 꽃이 핀다.

시골 농촌에서는 봄철에 미각을 돋구고 입맛을 되살아나게 하는 풀로 씀바귀를 봄나물로 먹는다.

너무써서 끓는 물에 약간 데쳐서 찬물에 오랫동안 우려내어 먹는데, 쓴맛을 즐기는 사람은 그대로 먹을 수 있다.

한 겨울철에도 잎이 죽지 않고 누렇게 땅에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양지 바른쪽에는 한 겨울에도 나물로 캐어서 먹을수 있다.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종류로는 선씀바귀, 벋음씀바귀도 있는데, 주로 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잘게 썰어서 쓴다.

약효로는 해열, 건위, 조혈, 소종등의 효능이 있으며 허파의 열기를 식혀 준다고 한다. 주로 소화불량, 폐렴,

간염, 음낭습진, 타박상, 외이염, 종기 등에 사용한다. 말린 약재를 5그램 정도를 달여서 복용한다.

타박상이나 종기에는 생풀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음낭습진은 달인물로 환부를 닦아낸다.

전북 익산시 원광대 인체과학연구소 정동명 교수팀은 <씀바귀>의 성분을 조사하고 나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흔한 씀바귀도 뛰어난 약초>

국산 자생식품인 씀바귀가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북 익산시 원광대 인체과학연구소 정동명 교수(생체공학)팀은 11일 “야산이나 논두렁에 흔한 씀바귀가

항스트레스, 노화방지, 피로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 등 성인병 예방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정교수팀은 보건복지부의 의료기술 연구개발 사업비를 지원받아 최근 2년 동안 씀바귀의 성분을 조사해왔다.

조사 결과 민간에서 ‘쓴나물’,‘싸랭이’,‘싸랑부리’라고 불리는 씀바귀의 추출물이 토코페롤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14배, 항박테리아 효과가 5배,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씀바귀가 항스트레스, 항암, 항알레르기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씀바귀 추출물이 이처럼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은 면역증강, 항암에 뛰어난 ‘알리파틱’과 노화억제, 항산화 기능

을 지닌 ‘시나로사이드’와 같은 성분이 다른 식품에 비해 풍부하기 때문이다.

정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씀바귀가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기능성 식품이라는 것과 천연 신약 개발의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출처: 2002년 09월 11일 (수) ekg21@fnnews.com 임호섭기자)

최근에 씀바귀에도 뛰어난 항암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항스트레스, 항암, 항알레르기, 노화방지, 피로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 등이다.

야산 논밭에 널려있는 흔한 씀바귀가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히 탁월하다.

봄나물로 인기있는 달래, 냉이, 씀바귀가 노랫 가사에도 실려 있듯이 한국인의 체질을 말없이 지켜온 보약인 것이다

나물캐는 아낙네들의 모습을 옛날 시골에서는 자주 볼 수 있는 풍경인데, 요즘은 그런 모습을 구경하기가 점점 힘든 것 같다.

운동도 되고 가족건강도 지키고 입맛을 돋우어 주는 다양한 토종나물로 우리의 건강을 지켜야 한다.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고채(苦菜) · 씸배나물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25∼50cm이다. 줄기는 가늘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며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잎자루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2∼3개로서 바소꼴이거나 긴 타원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4∼9cm이다.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지름 약 1.5cm이고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설상화(舌狀花)는 보통 5개씩이지만 많은 것도 있다. 총포는 길이 약 8mm, 지름 2.5∼3mm로서 통 모양이며

털이 없다. 바깥조각은 길이 약 1mm이고 안조각은 줄 모양이며 5∼8개이다.

작은포는 길이 9.5∼12mm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4.5mm로서 연한 노란색이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쓴맛이 있으나 이른봄에 뿌리와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성숙한 것은 진정제로 쓴다.

한국 · 일본 · 중국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씀바귀(var. albiflora), 설상화가 8∼10개이며 노란색 꽃이 피는 것을 꽃씀바귀(var. amplifolia)라고 한다.



씀바귀………200g


초고추장
고추장………3큰술
설탕…………1큰술
식초…………1큰술
마늘…………1작은술
파(다진것)…1큰술
깨소금………1작은술


① 씀바귀는 지저분한 것은 칼로 껍질을 긁어 낸후 깨끗이 다듬는다.
② 깨끗이 다듬은 씀바귀는 끓는 물에 살짝 데친다. 그런다음 씀바귀의 쓴 맛을 제거하기
위해 찬물에 오래 담가둔다.
③ 고추장 2큰술, 설탕 1큰술, 식초 1큰술, 다진 파, 마늘 약간, 깨소금 약간 등을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④ 씀바귀의 쓴 맛이 충분히 제거되면 위의 초고추장 소스에 오물조물 무친다.
⑤ 깨끗하게 손질한 봄동과 영양부추는 체에 받혀 물기를 제거한다.
⑥ 양념장에 5번을 맛있게 무쳐낸다.

출처:http://www.gazaga.com/

씀바귀(고채: 苦菜)

씸배나물 이라고도 하며, 흰 꽃이 피는 흰 씀바귀,

설상화가 8∼10개이며 노란 꽃이 피는 꽃 씀바귀 등 종류가 많고,

줄기에서 나는 잎과 뿌리에서 나는 잎이 있고,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쓴맛이 강한 흰 즙이 흐르며,

성질은 차고 쓴맛이 있으나,

봄에뿌리와 어린순을 데쳐서 양념무침이나, 소금 저림,

무침나물로 먹고,성숙한 것은 진정제로 쓰며,

산과 들에서 높이 25∼50cm로 자라고,

줄기는 가늘게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고,꽃은 5∼7월에 피며

번식은 종자나 포기 나누기로 하고,

성분은 단백질 3%, 지질 0.6%, 당질 8.4%, 섬유소 1.7%, 회분 3.6%,

칼슘76mg%, 철 3.7mg%, 비타민 등이 많이 들어있으며,

국화과 식물로 쓴 맛이 특징이고,

늦은 가을철부터 봄철까지 입맛을 돋우는데 꼭필요한 나물로

예부터 유명하며,

동의보감에 보면 오장의 독소와 미열로 인한 오싹한 한기를 제거하고,

심신을 편히 할 뿐 아니라,

춘곤증을 풀어 주는 등 노곤한 봄철에 정신을 맑게 해주며,

부스럼 등피부병에 좋고,

한방에서 기침약, 해열, 건위, 폐렴, 간염, 종기의치료제로 널리 쓰이며,

위벽을 튼튼하게 하고 식욕을 돋우어 주는씀바귀는

과식, 음식에 체했을 때 건위 약으로도 쓰이는데,

복용법은씀바귀를 소금물에 데쳐 말려서 달여 마시거나,

씀바귀를 달여 거른액을 다시 약한 불에 조려 환약으로 만들어

하루 2∼3알정도 먹으면좋고,

씀바귀 뿌리는 당뇨로 췌장 기능이 안 좋은 사람이 먹으면

사포닌 성분이 췌장의 기능을 돕는다고 하며,

축농증에는 씀바귀 온포기나 뿌리 4g을 1회분으로,

생즙을 내거나 산제로 하여 하루 2~3회씩 복용하고,

짓찧어 즙을 마시면 얼굴의 누런 기를 없애주며,

열,속병, 악창을 다스리고,

성분조사에서 씀바귀의 추출물이 토코페롤에비해

항산화효과가 14배, 항 박테리아 효과가 5배,

콜레스테롤 억제효과가 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 스트레스, 항암, 항 알레르기 효과가 높은 것은,

면역증강, 항암에 뛰어난 알리파틱과, 노화억제,

항산화 기능을 지닌 시나로사이드와 같은 성분이,

다른 식품에 비해 풍부하기 때문으로 조사됐고,

성인병을 예방하려면 씀바귀나물을 많이 먹는 것이 좋으며,

3월11일의 탄생화로 꽃말은 순박함이라고 합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동주  (0) 2005.10.06
연포탕(軟泡湯)  (0) 2005.10.05
서더리탕(생선뼈)  (0) 2005.10.02
민물장어  (0) 2005.09.28
대하구이  (0) 2005.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