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융산업 고려해야..금융지주 회장들 의견 청취 필요"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박병원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국회에서 자본시장통합법을 조속히 통과시켜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재정경제부 차관 시절 직접 입안한 자통법에 대한 애정도 있겠지만 지주사 전체의 발전을 위해 자통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인식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박 회장은 15일 연합뉴스와 전화 통화에서 "국회는 금융권 이외의 모든 목소리를 수렴해서 국가 전체 이익 차원에서 가장 잘 판단할 수 있는 곳"이라며 "각기 다른 의견들이 나왔을 때 이를 들어본 뒤 최종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영업 현장에서는 시간과 싸움을 벌이고 있다"며 "반도체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금융업계의 경우 누가 선점하고 선제 공격에 나서느냐가 향후 엄청난 차이를 가져온다"고 설명했다.
그는 "빨리 결론을 내지 않고 질질 끄는 것이 (해당 산업에) 가장 해롭다"며 "전체 법안 가운데 중요도가 10% 밖에 안되는 자통법을 빨리 판단하지 못해 90%가 기약없이 늦어지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강조했다.
자통법 하나 때문에 여러 가지 다른 법안들의 처리가 지연되거나 금융업계의 발전 전략 수립이 난항을 겪게 되면 자칫 국회의원의 직무유기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논란이 되고 있는 증권사 지급결제 참여와 관련, "자통법을 은행이나 증권사 입장에서만 생각하면 안된다"며 "우리나라 금융산업 전체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세상의 모든 것이 결과적으로는 어느 한쪽에 조금 유리하기도 하고 불리하기도 하다"며 "모두에게 유리한 정책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마찬가지로 손해 보는 쪽 말만 듣고 하지 않는다면 진행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며 "아무도 반대하지 않는 것은 그만큼 의미 없고 쓸모없는 것"이라고 설명이다.
이어 "재경부는 어느 한 쪽을 유리하게 하려고 법을 만드는 곳이 아니다"며 "전체 산업을 위해 법안을 제출한 것인 만큼 빨리 판단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회장은 "은행과 증권사를 모두 갖고 있는 금융지주회사의 회장은 중립적이면서도 전체 입장에서 판단할 수 있는 위치"라며 "최종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면 금융지주 회장들에게 물어보라"고 말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작년말 기준으로 3개의 은행 자회사가 우리금융 순이익의 93%를 차지하고 있어 지주사가 은행 자회사들에 좌지우지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세계적 금융그룹과 어깨를 겨루기 위해서는 증권사 등 다른 자회사들의 성장이 시급하다고 느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금융그룹의 수장이 된 박 회장이 관료의 때를 완전히 벗지 못한 채 작년 재경부 차관 시절 입안한 자통법의 통과에만 열을 올리는 것 아니냐는 차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우리은행이 주력 자회사인 우리금융의 회장이 증권사의 지급결제 허용이 포함된 자통법을 옹호했다는 것을 믿기 어렵다"며 "위험성을 감안하지 않은 채 증권사 키우기에 나서면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이와 관련 "자통법 통과는 현 재경부 관료들의 몫이지 더 이상 제 사업은 아니다"며 관료로서가 아닌 금융그룹 회장으로서의 발언임을 분명히 했다.
harrison@yna.co.kr
(끝)
'아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는 뭘 궁시렁 거리는 거야! (0) | 2007.05.19 |
---|---|
MBA 국내서 딸까? 미국서 딸까? (0) | 2007.04.25 |
KAIST총장의 호소 “1000억 빌릴수 있게 해주세요” (0) | 2007.03.27 |
한국 뭉칫돈, 영국 한인타운 몰려… (0) | 2007.03.24 |
스페인 마드리드/070331 (0) | 200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