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대장정 제11구간] 황장산 - 르포 ‘골기(骨氣)를 감춘 육산(肉山)’ 줄기에 서서 차갓재~황장산~벌재~문복대~저수령 | ||||||||||||||||||
산 그림자 위로 쑥부쟁이가 하얀 웃음을 흩뿌리는 이른 오후. 경북 문경시 동로면 안생달 마을. 더 이상 자동차는 이동수단으로 무의미한 곳이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오직 두 다리만으로 백두대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수없이 경험하지만 늘 처음인양 설레는 순간이다.
“확신하거니와, 내가 만약 산책의 동반자를 찾는다면 나는 자연과 하나가 되어 교감하는 어떤 내밀함을 포기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나의 산책은 분명 진부한 것이 되고 말 것이다. 사람들과 어울리고자 하는 취미는 자연을 멀리함을 뜻한다. 그렇게 되면 산책함으로써 얻게 되는 저 심오하고 신비한 무엇과는 작별인 것이다.”(헨리 데이비드 소로, <걷기예찬> 51쪽에서 재인용, 현대문학) 적어도 백두대간에서만큼은 나는 소로의 이 말에 동의할 수 없다. 하지만 새겨들을 만한 말이다. ‘걷기’라는 점에서 산책과 대간 종주는 속성을 공유하고 있으니까. 그렇지만 대간 종주는 산책과 다르다. 그것보다는 훨씬 거칠고, 때론 지루하고, 고상하지도 못하다. 그래서 대간 종주는 좋은 동반자가 필요하다. 황장산의 원래 이름은 작성산
안생달에서 차갓재로 향한다. 지난밤 내린 비로 아직 숲은 축축하다. 서늘한 바람이 옷깃 속으로 스민다. 숲은 투명한 가을 하늘을 닮아간다. 천천히, 아주 천천히, 한 걸음 한 걸음 등성마루로 오른다. 20분쯤 지나자 차갓재다. ‘백두대장군’, 그리고 ‘지리여장군’이라고 쓴 두 장성이 울퉁불퉁 웃으며 서 있다. 장성 사이로 ‘백두대간 남한 구간 중간지점’이라고 쓴 자그마한 표석이 보인다. 문경 ‘산들모임’ 사람들이 대간 종주자들을 위해 세운 표석이다. 돌에 새긴 글을 그대로 옮겨본다.
묏등바위에서 다시 30분쯤 기분 좋은 암릉을 지나자 황장산(1,077m) 정상이다. 이름에 걸맞게 펑퍼짐한 너럭바위 위에 새재산악회가 세운 정상표석이 서 있다. 사방으로 조망의 즐거움은 아직 잎이 무성한 참나무숲의 몫이다. 감히 황장산의 풍모를 ‘골기(骨氣)를 감춘 육산(肉山)’이라고 말해 본다. 그런데 문경시에서 펴낸 <문경의 명산>이라는 책을 보면 ‘봉산으로 정한 곳은 이곳 외에도 32곳이나 되지만 다른 곳에서는 표석을 발견할 수 없고 유독 이곳에서만 발견되었다(124쪽)’고 하는데, 문헌 고찰이 약간 부족했던 것 같다. 전영우 교수(국민대 산림자원학과)가 쓴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소나무>(현암사, 2004)를 보면 경북 울진군 소광리에서도 황장봉표가 발견됐으며, 강진, 순천, 고흥에 하나씩 외에 강원도와 경상도에 걸쳐 총 60곳에 황장봉산이 지정됐다고 한다.
조금 장황한 감이 있지만 이왕 말이 나온 김에 황장목(黃腸木)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황장목이라는 이름은 줄기의 고갱이 부분에 송진이 적절히 베어들어 속살이 누런 소나무를 말한다. 그 모양이 마치 누런 창자와 같다는 말이겠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지금 황장산에는 황장목이 없다. 대부분 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완성됐기 때문이다. 그나마 정상 앞뒤 암릉 주위에 몇 그루가 우람한 자태로 이름값을 하고 있다. 우리의 소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선박의 재료로, 건축재로, 관곽재로 베어진 것도 모자라 솔잎혹파리로부터 혹사를 당하더니, 최근에는 재선충 때문에 전국의 소나무가 떨고 있다. 아직은 우리 숲의 약 25%가 소나무라는데 이 정도라도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 같다. “서울 사는 인간들은 아예 별이 뜨지 않는 것처럼 말한다” 황장산에서 벌재(620m)까지는 도상거리 약 5.5km를 서너 번 크게 솟구쳤다 내려서기를 반복하며 약 460m 정도 허리를 낮추어 벌재에 닿는다. 소요 시간은 상황에 따라서 2시간30분에서 3시간 정도. 황장재를 지나서는 약간의 암릉을 지나지만 발바닥의 감촉이 오히려 경쾌할 정도다.
어둑한 도로 위로 취재팀의 야행성 동물 같은 모습이 보인다. 한숨 돌리고 하늘을 보노라니 눈썹달이 곱게 걸려 있다. 이내와 눈썹달의 여린 빛이 어우러진 대간의 저녁은, 혼사를 앞둔 처녀의 표정처럼 조금은 수줍고 그만큼 은밀하다. 벌재에서 동로면 쪽으로 100m 남짓 내려서자 맞춤한 캠프사이트가 나온다. 도로 선형을 변경하면서 버려진 아스팔트 포장도로로, 월악농장 초입이다.
그런데 국토지리정보원의 1:50,000 지도에는 벌재의 표기가 ‘벌재재’로 표기돼 있다. 인터넷 검색을 해 보니 지명정보에도 1961년에 벌재재로 고시돼 있다. 당시 현지 조사원이 벌재의 재가 고개를 뜻하는지를 모르고 ‘재’ 자를 하나 더 붙인 듯하다. <소백산맥 지역의 교통로와 유적>(박상일, 국사관논총 16, 국사편찬위원회 1990)이라는 논문에 '적성은 바로 벌재의 한역으로 보인다'는 언급이 있다. 벌재의 남쪽 마을이 바로 문경시 동로면의 적성리인데, 한자 표기가 붉을 ‘赤’인 것으로 보아 ‘붉은 재’를 이 고장 말로 벌재라 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제 문경시 구간을 벗어난다
실제로 대간 종주를 하다 보면 자주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 만약 데이비드 소로가 우리의 이런 모습을 보았다면, 아니 미국의 백두대간 격인 애팔레치아 트레일 종주를 했다면, 결코 함께 걷기를 “자연과 하나가 되어 교감하는 어떤 내밀함을 포기하는 것”이라거나 “저 심오하고 신비한 무엇과는 작별”이라고 혹평하지는 않았을 것이다(독자 여러분, 오해는 마십시오. 소로가 한 말의 진정한 의미를 곡해하려는 뜻은 전혀 없습니다). 문복대(1,077m, 정상표석에는 운봉산이라는 다른 이름과 함께 1074m로 표기) 정상에 선 시간은 정오를 한참 남겨 둔 시간이다. 우리는 최대한 게으르게 휴식을 취한다. 그런데 벌재 초입의 트레일에 적힌 안내판에는 북쪽에서부터 내려온 백두대간이 문경시 관내로 들어오면서 처음으로 솟구친 산이라고 적고 있다. 우리들의 입장에서는 백두대간 남한 구간 중 가장 긴(도상거리 110km 정도) 문경시 구역을 벗어나는 마지막 산인 셈이다. 또한 이어지는 설명은 문복대라고 많이 알려져 있으나 운봉산이라고도 하는데, 국토지리정보원의 1:50,000 지도에는 문봉재라고 표기돼 있다고 한다. 1,000m가 넘는 봉우리를 재라고 한 것은 분명한 오식인 것 같다. 그리고 이 봉우리에서 북으로 뻗은 산줄기가 도락산을 이루며 단양팔경의 하나인 상선암 일대의 경승을 이룬다는 설명이다. 지도로도 확인이 되는 사실이다.
산행을 마치고 점심으로 먹는 라면은 언제나 최고의 음식이다. 휴게소 옆 공터에서 라면으로 점심을 해결한 다음, 넉넉한 시간을 대간이 우리에게 준 선물로 여기고 단양팔경 중 제1경인 사인암으로 향한다. 옥빛 계류와 바위절벽을 바라보며 우리 모두는 제멋에 겨운 한량이 된다. 이처럼 구간 종주를 하다보면 특별히 의도하지 않아도 이 땅의 절경과 고샅을 살피게 된다. 대간 종주는 단순히 산길을 걷는 일만이 아니다. |
'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대장정 제12구간] 도솔봉 - 식생 (0) | 2006.02.14 |
---|---|
[백두대간대장정 제12구간] 도솔봉 - 역사문화 (0) | 2006.02.13 |
[백두대간대장정 제11구간] 황장산 - 식생 (0) | 2006.02.08 |
[백두대간대장정 제11구간] 황장산 - 풍수 (0) | 2006.02.06 |
[백두대간 대장정 제11구간] 황장산 - 월악산 지형지질 (0) | 2006.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