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갈치속젓

갈치속젓, 중후한 깊은 맛
[맛객의 맛있는 이야기] 갈치 내장만을 모아 1년 넘게 숙성
김용철(ghsqnfok) 기자
▲ 갈치속젓 양념으로 다진고추, 파, 고춧가루, 꿀, 참기름을 넣었다.
ⓒ 맛객
중후한 깊은 맛. 갈치속젓의 맛을 그렇게 표현하고 싶다. 세월 속에서 이 맛 저 맛이 모여 웅숭깊은 감칠맛으로 태어나는 게 젓갈이지만, 갈치속젓은 특히 더 진한 맛을 낸다. 그래서일까. 오래 익혀 먹어야 제 맛을 내는 갓김치에도 갈치속젓을 사용한다.

누가 지었는지 모르지만 이름 한 번 잘 지었다. 갈치속젓. 창자로 만들지만 명태처럼 창난젓이라 하지 않고 속젓이라 한다. 속은 깊음을 말한다. 철이 들고 생각도 깊어지면 속 들었다고 한다. 반대로 철없는 인간보고는 "에이 속아지 없는 놈 같으니라고" 하면서 천대한다. 갈치속젓에는 깊음이 있다. 그 깊은 맛 나는 젓갈을 '갈치창난젓'이라 부른다면 얼마나 가벼이 보이겠는가?

▲ 갈치속젓은 미역이나 다시마로 쌈을 해서 먹는다.
ⓒ 맛객

▲ 쌈에 두부가 들어가면 미역과 밥알의 빈 공간을 채워줘 갈치속젓의 제 맛을 볼 수 있다.
ⓒ 맛객
갈치속젓을 먹을 때는 적당량을 그릇에 덜어 양념을 한다. 다진 고추와 고춧가루 꿀과 참기름을 조금 넣고 잘 비벼주면 된다. 여기에 다시마나 물미역을 준비한다. 두부도 있다면 썰어 내놓는다.

▲ 갈치속젓 미역쌈.
ⓒ 맛객
밥과 미역만 쌈을 해서 먹으면 미끌미끌한 미역과 밥알이 각자 따로 놀아 갈치속젓의 참맛이 잘 느껴지지 않지만, 두부가 들어가면 그럴 염려는 없다. 미끌미끌하지 않은 두부가 미역과 밥알의 공간을 채워줘 씹을수록 갈치속젓의 맛을 음미하게 해 준다. 멸치젓갈이 칼칼한 매운맛에 강한 맛이라면, 갈치속젓은 향긋하면서 은은한 깊은 맛에 여운이 남는 맛이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두부찌개  (0) 2006.11.23
호박김치  (1) 2006.11.22
동치미의 추억  (0) 2006.11.20
자장면  (0) 2006.11.17
알타리무 김장  (0) 2006.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