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특사 외교 + 신속한 리튬 추출 성공…미적대던 볼리비아의 마음을 흔들었다
자원 레이스 선전 비결은
글로벌 자원 전쟁에서 한국은 서구 선진국은 물론 일본·중국에 비해서도 열세다. 그러나 볼리비아 우유니(Uyuni) 리튬 확보 경쟁에서 한국은 뒤늦게 뛰어들고도 일본·중국·프랑스에 한발 앞섰다. 한국이 자원 전쟁에서 이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번 사례가 잘 보여준다.
한국이 볼리비아 자원 개발과 인연을 맺기 시작한 건 2006년이다. 노후한 코로코로 구리 광산 재개발을 놓고 중국 기업과 경합 끝에 광물자원공사(KORES)가 사업을 따냈다. 대신 중국은 볼리비아 지질연구소에 5년 동안 기술 지원 계약을 맺었다. 그런데 계약을 착실히 이행한 한국과 달리 중국은 기술 지원을 차일피일 미루며 딴전을 피웠다. 볼리비아가 한국에 대해 호감을 가지기 시작한 건 이때부터다.
볼리비아는 우유니 리튬 개발사업에 한국의 참여를 허용하지 않았었다. 돌파구를 뚫자면 고위급 채널이 필요했다. 주볼리비아 김홍락 대사는 본국에 특사 파견을 요청했다. 마침 남미 자원 외교 순방에 나선 이상득 의원이 대통령 특사를 자청해 볼리비아를 방문했다. 완강하던 볼리비아는 이때 처음 우유니 소금물 1만5000L를 한국에 주기로 약속했다. 우유니 개발사업에 한국이 발을 들여놓게 된 것이다.
그러나 볼리비아는 소금물을 주지 않고 시간만 끌었다. 이에 이 특사는 지난해 10월과 올 1월 두 차례 더 볼리비아를 찾았다. 그제야 볼리비아는 올 2월 소금물 300L를 보냈다. 그나마 나머지 1만4700L는 4, 5월 나눠서 줬다. 그러곤 8월까지 소금물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실험 결과를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KORES와 포스코 산하 포항산업과학연구원·지질자원연구원으로 구성된 국내 연구진은 마침 바닷물에서 리튬을 뽑아내는 연구를 진행 중이었다. ‘설마 한국이 6개월 안에 실험 결과를 내놓을 수 있겠느냐’고 반신반의했던 볼리비아 정부는 지난달 12일 한국 컨소시엄이 첫 실험 결과를 발표하자 깜짝 놀랐다.
한국의 추격에 마음이 급해진 일본은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추진했다. 그러나 때마침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총리가 실각하는 바람에 모랄레스 대통령의 방일이 무산됐다. 그러자 모랄레스 대통령은 직접 주볼리비아 대사관에 찾아가 한국 방문 가능성을 타진했다. 김 대사는 “한국을 방문하는 길에 한 단계 진전된 협정을 맺는 게 어떠냐”며 모랄레스 대통령을 설득해 새 MOU를 이끌어냈다.
라파스(볼리비아)=정경민 특파원
모랄레스 방한 충격 … 중·일·프 ‘당근 반격’ 거셀 듯 [중앙일보]
2010.09.07 01:40 입력 / 2010.09.07 08:41 수정
‘리튬 보물창고’ 볼리비아에 가다 <하>
자원 각축장된 ‘리튬 트라이앵글’
볼리비아 포토시 우유니 염호에 설치된 리튬 추출 실험시설. 볼리비아 광물자원공사(코미볼)는 독자적으로 리튬 추출 기술을 얻기 위해 파일럿 플랜트 설치와 함께 이 같은 실험시설을 우유니 염호 곳곳에 설치해 놓았다. | |
일본은 볼리비아 정부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리는 ‘당근 전술’도 구사하고 있다. 우유니가 있는 포토시 주에 지열발전소를 짓고 지하수를 개발하며 15개 학교를 설립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포토시는 우유니 개발 사업 지연으로 주민 불만이 고조돼 볼리비아 정부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 지역이다. 일본이 물량 공세로 주민 불만을 무마해 주겠다는 것이다. 중국은 무기를 앞세워 군사력 강화를 원하는 모랄레스 대통령의 구미를 당기고 있다. 자동차·배터리 회사로 이루어진 프랑스 컨소시엄은 볼리비아에 2차전지 공장을 세우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리튬을 겨냥한 세계 각국의 각축전은 볼리비아뿐 아니라 칠레·아르헨티나로도 확산됐다. 볼리비아·칠레·아르헨티나가 접한 곳은 세계적인 염호(鹽湖)가 몰려 있는 ‘리튬 트라이앵글’ 지역이다. 특히 칠레 아타카마 사막의 염호는 이미 세계 1위 리튬 생산광구다. 아직 개발하지 않은 서쪽 염호 개발 사업에 KORES와 삼성물산이 지분 참여를 추진 중이다.
아르헨티나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에선 한국과 중국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이곳 역시 한쪽에선 이미 리튬이 생산되고 있어 전기·용수·도로 같은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 KORES·GS칼텍스·LG상사로 이루어진 한국 컨소시엄은 캐나다 회사와 옴브레 무에르토의 살데비다 리튬광 탐사사업에 투자하기로 했다. 이 사업에 눈독을 들여온 중국도 지분 확보 경쟁에 나선 상태다.
리튬 트라이앵글을 비롯해 자원 개발 경쟁이 뜨거워지면서 요즘 페루 리마는 세계적인 자원개발 전문회사의 본거지로 부상했다. 에이멕·벡터·골든미네랄스·BPZ 등 세계적인 자원탐사 전문회사가 앞다퉈 리마에 진출했다. KORES 박영후 리마 사무소장은 “KORES가 리마에 진출한 건 2007년”이라며 “서구는 물론 일본·중국에 비해 다소 늦었다”고 말했다.
그나마 한국은 지난달 30일 페루와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어 페루 진출의 활로를 뚫었다. KOTRA 박종근 리마 센터장은 “페루가 외국인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수도 리마는 남미 자원 전쟁의 각축장으로 떴다”며 “자원 확보 경쟁에 나서려면 리마에 든든한 교두보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정부와 기업의 리마 진출이 다소 늦긴 했지만 한·페루 FTA가 타결돼 국내 기업 진출이 전보다 쉬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파스(볼리비아)·리마(페루)=정경민 특파원
끝없는 소금밭 … 철조망 두른 플랜트엔 군인이 촬영 막아 [중앙일보]
2010.09.06 00:52 입력 / 2010.09.06 01:03 수정
‘리튬 보물창고’ 볼리비아에 가다
정경민 특파원 우유니 소금호수 르포
볼리비아 수도 라파스에서 남쪽으로 10시간을 쉼 없이 달려가자 문득 시야가 탁 트였다. 마치 꽁꽁 언 호수에 흰 눈이 덮여 있는 듯한 평원이 끝도 없이 펼쳐졌다. 먼 옛날 바다였던 이곳은 수만 년 전 지각 운동으로 갑자기 솟아올랐다. 이로 인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바닷물이 주변 안데스 산맥에 갇혀 건조한 겨울엔 소금사막으로, 우기인 여름엔 비에 살짝 젖어 빙판처럼 변신하는 염호(鹽湖)가 됐다. 브라질 이구아수 폭포, 페루 마추픽추와 함께 남미 3대 관광지로 꼽히는 ‘우유니(Uyuni)’ 염호다.볼리비아 포토시 우유니 염호와 소금으로 만든 집 모습. 볼리비아 정부는 경기도 넓이의 이곳 소금사막에서 리튬을 추출해내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 |
코미볼은 이곳에서 리튬 추출 기술을 독자 개발할 계획이다. 리튬 생산을 정부가 독점하기 위해서다. 염호 곳곳에도 소금물을 증발시켜 리튬을 추출하는 실험 장비가 설치돼 있었다. 호세 피멘탈 볼리비아 광업부 장관은 “외국 기업과 기술 파트너 계약을 맺더라도 리튬 생산은 정부가 독점할 것”이라며 “외국 파트너에겐 리튬을 구매할 수 있는 우선권을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리튬 생산을 독점하려다 보니 사업 진척은 거북이걸음이다. 5년째 진행해온 독자 기술 개발도 뚜렷한 성과가 없다. 이러다 보니 기대에 부풀었던 지역사회의 불만은 점점 커지고 있다. 지난달 15일엔 우유니가 속한 포토시 주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마침 이곳을 지나던 한국 시찰단이 시위대에 24시간 억류되기도 했다. 당시 시위를 주도한 리오물라토 시위원회 레네 미차가 위원장은 “정부가 우유니 개발사업을 발표한 건 6~7년 전”이라며 “아직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본격적인 리튬 생산에 필요한 전기·용수·도로 등 인프라 건설도 요원해 보였다. 라파스에서 우유니에 이르는 600㎞ 도로 중 3분의 2가 비포장이다. 용수는 파일럿 플랜트 건축에도 부족한 실정이다. 전력 사정은 더 심각하다. 볼리비아 정부는 올해 안에 파일럿 플랜트를 완공한 뒤 설비를 증설해 2014년부터는 연 3만t의 탄산리튬을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인프라 건설에 필요한 자본 조달 계획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라파스·우유니(볼리비아)에서
정경민 특파원
볼리비아 피멘탈 광업 장관
남미 볼리비아의 호세 피멘탈(61·사진) 광업부 장관은 1일(현지시간) 본지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이 아시아 순방국 중 한국을 처음 방문한 것도 이 같은 신뢰의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수도 라파스 정부청사에서 그를 만났다.
-지난달 12일 한국 컨소시엄은 우유니 소금물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연구의 첫 결과를 제시했다. 한국 기술을 어떻게 평가하나.
“매우 만족한다. 지금까지 실험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곳은 한국 컨소시엄뿐이다. 다른 컨소시엄도 기술 설명회를 열기는 했으나 샘플만 달랑 내놓았을 뿐이다.”
- 볼리비아 정부의 입장은 뭔가.
“볼리비아는 500년 동안 광업을 해왔지만 생산단계에서 개발사업권을 외국에 넘겨주는 바람에 정작 우리 국민에겐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우유니 개발사업에선 이런 전철을 밟지 않을 것이다.”
-개발사업권을 외국에 주지 않겠다는 뜻인가.
“우유니 리튬은 볼리비아 국민의 것이다. 생산도 볼리비아 정부가 전적으로 맡는다. 다만 생산에 필요한 자본·기술을 제공하는 외국 파트너엔 볼리비아 정부가 생산한 리튬을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할 것이다. 아울러 산업화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자본·기술을 제공한 국가·기업에 우선적으로 돌아갈 것이다.”
-기술 파트너는 언제 결정할 예정인가.
“선정에 앞서 우리 스스로 각 컨소시엄이 제시한 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를 위해 우유니에 파일럿 플랜트를 짓고 있다. 칠레·아르헨티나로부터 관련 자료도 입수해 시험 중이다. 기술 파트너 결정은 이 작업이 마무리된 뒤에나 가능할 것이다. 지금으로선 언제가 될지 구체적으로 정하기 어렵다.”
-우유니에서 리튬을 본격적으로 생산하기엔 도로·전기·용수와 같은 인프라가 부족하다.
“나름대로 복안이 있다. 에너지는 지열 발전을 통해 확보할 것이다. 오루로~우유니 구간 도로 포장도 내년에 착공한다.”
정경민 특파원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리로 나온 중·일 영토갈등 (0) | 2010.10.19 |
---|---|
전 세계 난치병 환자, 허름한 외양의 중국 병원으로 몰려 (0) | 2010.10.05 |
[视频]胡锦涛总书记同朝鲜劳动党总书记金正日在长春举行会谈 (0) | 2010.08.31 |
世界十大禁地 (0) | 2010.08.11 |
참새의 사랑 (0) | 201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