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촌 美來村

미래촌강좌 제261강 081023(목) : 미국대선과 한반도 영향

◇ 김정열 정치문제애널리스트 ⓒ 데일리안

----------------------------------------------------------------------
미국에서 본 팍스아메리카나

김정열 저
----------------------------------------------------------------------

이슈투데이에 '한반도 - 리뷰 그리고 비전'을 주제로 연재칼럼을 기고하
고 있는 동명정보대 김정열 교수의 새책입니다. 김교수가 조지 워싱턴
대학과 조지 메이슨 대학에서 2년간 객원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미국의
제도와 미국인들의 일상생활을 보고 느낀 점을 국내외 정치, 경제, 사회
와 관련지어 소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우리 나라의 정치제도를 전문적 식견을 바탕으로 정리한 점
이 돋보입니다.

책은 총 3부로 이뤄져 있는데 1부는 미국의 사회제도, 교육, 정치와 경제
를 중심으로, 2부는 이번 무역센터의 테러에서 볼 수 있듯이 안팎으로
시달리고 있는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를 바라보는 저자의 독특한 시각을 담고 있습니다. 3부에서는 현 시대의 팍스아메리카나 질서에 대해 우리
나라가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하는가를 밝히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우리 사회의 명암을 바라보는 저자의 날카로운 시각을 접할 수 있습니다
.

----------------------------------------------------------------------

목차
----------------------------------------------------------------------
글을 시작하며

▣ 제1부 팍스아메리카나의 근본, 미국의 제도와 정신

1장 미국 사회 그리고 제도 보기


- 신뢰, 미국의 귀중한 사회적 자산
- Affirmative Action의 정신
- 미국의 아동보호 : 자녀 양육비 지원과 운전면허
- 도심에 위치한 미국의 화장장
- 아름다운 '동맹' - 정당을 초월하는 클린턴과 그린스펀의 협력
- 아미쉬(Amish) 사회에서 생각하는 행복론
- 한인사회, 이중기준의 빛과 그림자

2장 미국의 학교교육 들여다보기

- 학교에 가는 것을 즐거워하는 아이들
- 학생에게 상주기와 벌주기
- 교과서부터 제대로 만들어 보자
- 세차 서비스를 하는 미국 교사들
- 독서교육을 중시하는 미국교육
- 학교교육의 대안과 홈 스쿨링 제도
- 체계적인 부모교육 운동이 필요하다! -남쪽의 귤 북쪽의 탱자(南橘北枳)
- 미국의 지역 도서관을 보며 느낀 것들

3장 현장에서 보는 미국 정치와 경제


- 민주주의의 현장 - 미국의 정치인 후원회
- 정치자금 개혁의 기수, 존 매케인 상원의원
- 정치판도를 바꾸는 미국의 농업정책
- 풀란 데비의 길과 힐러리의 선택
- 토크빌이 2000년 미국 대선을 보았다면
- 미국 경제비관론의 함정
- 부시 대통령의 경제정책과 한국경제


제2부 도전 받는 팍스아메리카나

1장 미국 대외정책의 이상과 현실

- 미 아프간 공격의 도덕적 딜레마
- 테러피습 이후 미국의 대외정책 - 위기 속의 대안 찾기
- 탈냉전 시대 미국 대외정책 - 적을 잃어버린 혼돈
- 영화 '진주만'과 미국의 음모론
- 미국의 MD 추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주한미군 철수론을 생각한다

2장 국제정치경제학의 시각으로 본 새로운 질서

- 미국의 9.11테러피습과 국가의 역할 논쟁
- 국제 反테러 동맹과 남북한의 대응
- 미 달러평가의 정치경제학
- 북한 미사일 문제의 국제정치학
- 미?중 갈등 원인과 전망 : 멀리할수록 더 가까워지는 관계
- 미국의 유엔분담금 축소와 향후 유엔의 역할
- 국제정치학에서의 구성주의 시각 - 남북교류에 대한 적용의 한계

3장 미국에서 본 세계화와 反세계화

- 세계화와 브루더호프(Bruderhof) 공동체
- 테너 박인수 교수의 '한 오백년' 또는 바람직한 세계화
- 세계화의 그늘과 국제범죄조직
- 反세계화 시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
- 96년 TV 드라마 '애인' 과 IMF 외환위기
- 세계화와 정주영 전회장을 생각한다


제3부 팍스아메리카나와 한국의 대응

1장 동북아 패권의 향방 분석

- 그래도 고이즈미 일본 수상의 방문을 환영하자
- 일본 교과서 문제대응과 딜레마
- 한류열풍, 어떻게 볼 수 있는가?
- 동아시아 경제와 리더십 위기
- 反美연대의 음모론 가설 : 모스크바 선언을 보는 시각
- 북한의 실상은 무엇인가? : 외면 당하는 폴러첸의 증언
- 부시 행정부 출범과 한반도 주변정세

2장 한국의 시민사회 가능성 탐구


- 시민단체는 야누스인가?
- 일부 시민단체의 조급성과 편파성 비판
- 시민단체의 역할과 정치적 제도화
- 두 도시의 이야기 : 미국과 한국의 시민사회
- 일본의 NPO 우대세제 추진을 보며
- 새로운 국제무역질서와 비정부기구(NGO)의 역할

3장 한국, 어디로 가는가? - 비판과 대안


- 북한은 절망의 길로 갈 것인가?
- 가족주의, 지역주의 그리고 제도의 파괴: '이용호 게이트' 분석
- DJ 대북 정책의 정체성 문제
- '우리 시대 평화' 의 허상과 기로에 선 햇볕정책
- 미나리의 특성과 종교의 역할
- 친일파 논쟁의 배경과 함정
- 악령에 쫓기는 멕베드의 위험한 칼 : 언론개혁을 보는 시각
- 중립적인 연구단체의 설립을 제안한다
- 워싱턴 5.18행사를 보며
- 한국정치, 보다 철저한 제도화가 요구된다
- 대한민국, '무뇌(無腦)국가'로 가는가?
- 장진호 전투와 '쵸신 퓨'를 기억하자
-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 (FREEDOM IS NOT FREE)
- 포퓰리즘의 불행한 종말과 교훈
- '립 반 윙클' 정치의 실패
- 6.25 51주년에 -아버지의 때늦은 유공훈장

글을 마무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