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콩 죽

영양만점 메주콩으로 쑨 '콩죽' 맛보세요
유진택(yjt_poet) 기자
▲ 금방 끓여놓은 콩죽.
ⓒ 유스테판
주말이라도 아무 할 일 없이 집에 있는 날이면 무엇인가가 자꾸만 먹고 싶어진다. 원체 군것질을 좋아하는 내 체질이고 보면 한시라도 집에 남아나는 게 없다.

찐고구마나 식빵, 과일까지 입맛 다실 게 어느 정도 떨어지고 나면 자꾸만 입이 근질거려 참을 수 없다. 마침 아내와 집 근처에 있는 보문산이나 오르려고 준비를 하는데 아내가 한마디 한다.

"콩이 조금 남아서 콩죽 좀 끓이려고 하는데 어때?"
"지금 바로 해먹으려고?"
"콩만 삶아 놓고 등산 갔다 와서 해먹으려고…."

오순도순 대화가 끝나자 아내는 곧장 주방으로 들어가 콩 삶을 준비를 한다. 아내의 일을 도와주려고 나도 주방으로 따라 들어갔더니 냉장고에 들어 있는 콩을 꺼내달란다. 잡다한 반찬들이 뒤섞인 냉장고 한 켠에서 콩 한 봉지를 꺼내 단단히 묶은 주둥이를 풀렀다. 노란 콩들이 때깔이 참 곱다. 언제 이 콩을 사서 보관해 두었을까.

▲ 비닐봉지속에 들어있는 콩의 때깔이 참 곱다.
ⓒ 유스테판

"전에 엄마가 부쳐준 거야. 장날에 한 포대 사서 시골에서 두부를 해먹고 남은 거거든."

작년인가, 처가에 놀러 간 날 두부를 만든다고 이른 아침부터 난리를 피우던 일이 떠올랐다. 뿌연 김이 안개처럼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마당에서 돼지를 잡듯 간수가 빵빵하게 들어 있는 자루를 홍두깨로 몇 번씩 눌러 속살 하얀 두부를 만들어 먹던 일.

"그럼, 두부를 만들 때 쓰는 콩이 바로 이거야?"
"이게 바로 메주콩이란 거야."

사실 아내가 메주콩의 이름을 알려주기 까지는 나는 이 콩의 이름을 전혀 몰랐다. 그냥 콩으로만 부르는 것으로 알았다. 그러나 어릴적 부모님을 따라다니며 콩농사를 도와주던 생각을 하면 조금씩 감이 잡혀온다. 콩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 것을 말이다.

그 당시 시골에서 인기 있었던 메주콩 농사

묵혀 둔 땅만 있어도 구석구석 여러 종류의 콩을 심었던 부모님. 논두렁에는 덩불콩, 넓은 밭 전체에는 메주콩, 그 밭 변두리에는 녹두와 검정콩도 심었다. 울타리에는 강낭콩을 심어 넝쿨이 타오르도록 했다. 늘 고봉으로 얹힌 밥에는 붉은 핏기를 머금은 강낭콩이 밥 속에 쿡쿡 박혀 있었고 어떤 때는 검정콩이 흑사탕처럼 섞여 있기도 했다. 자잘한 녹두가 뒤섞인 녹두밥을 먹기도 했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흔하게 본 것은 메주콩이었다. 밭고랑이 넘치도록 누런 콩다발이 까칠하게 서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닌 메주콩이었다. 수확기가 되면 마당에 콩다발을 늘어놓고 도리깨질로 콩타작을 할 정도로 메주콩은 아주 흔했다. 그것은 경제성 때문이었다. 오일장에 내다팔아 요긴하게 목돈을 만질 수도 있고, 남는 콩은 두부를 해먹거나 메주를 뜨기도 했다.

즉석에서 만든 손두부의 하얀 속살을 맛보았고 남은 비지는 반찬 대용으로 식탁에 오르기도 했다. 콩물에 국수를 풀어 만든 콩국수도 구수해서 여름철 별미로 시원해서 좋았고 콩자반은 늘 도시락 반찬의 단골 메뉴가 되었다. 네모반듯한 메주가 시렁에 주렁주렁 매달려 곰팡내를 풍길 때도 있었다.

재미삼아 하루에도 몇 번씩 물을 주어 키운 콩나물로 콩나물밥을 해 먹을 때는 온 가족이 서로 먹으려고 난리를 피운 적도 있었다.

효능도 다양한 메주콩

▲ 펄펄 끓는물로 콩을 삶고 있다.
ⓒ 유스테판

메주콩이 두부나 메주같은 식품의 재료로 쓰이는 것을 잘 알면서도 막상 그 효능에 대해선 알지 못했다. 날만 새면 꾸역꾸역 농사일에 바쁜 사람들이 그 효능을 안다고 해도 건강을 위해 일부러 콩을 먹지는 않았다.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할만큼 단백질 덩어리로 알려져 있다. 육류를 많이 섭취하지 못했던 옛날에는 자연스레 콩으로 육류를 대신하기도 했다.

더구나 현대에 들어 광우병이나 조류인플루엔자 같은 육류에 대한 공포심은 콩의 인기를 높이는 원인이 됐다. 너무 흔해서 오히려 천대받는 콩은 고혈압과 당뇨, 항암효과, 치매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갈수록 인기다.

그러나 메주콩이 열매로 결실을 맺어 하나의 식품으로 탄생하기까지는 힘든 수고를 감내해야 한다. 두부나 메주를 만드는 일은 쉽지 않아 가족들의 손길을 많이 필요로 하지만 콩죽은 그렇지 않다. 믹서기만 있으면 그만이다. 삶은 콩을 한주먹씩 넣고 돌리기만 하면 된다.

벌써 가스렌지 위에는 펄펄 냄비 물이 끓어 오르고 뿌식뿌식 김 올라오는 소리로 시끄럽다. 아내는 봉지 속의 콩을 쏟아 냄비 속에 집어넣었다. 한참만에 콩이 익자 차가운 물로 가셔내고선 손을 살살 휘저어 껍질을 걸러낸다. 마지막으로 걸러낸 콩을 냄비에 담아 놓고 준비 완료, 산행을 하고 와서 본격적으로 콩죽을 해 먹자고 한다.

뽀글거리는 콩죽처럼 웃고 떠드는 대화

저녁나절, 오랜만에 산행을 하고 왔더니 배가 출출했다. 주방의 식탁엔 가족들이 둘러앉았다. 직장에서 퇴근한 딸은 제 어미와 무슨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는지 웃고 떠드느라 야단법석이다.

아내는 벌써 삶은 콩을 믹서기로 갈아 냄비 가득 콩죽을 쑤어 놓았다. 방금 끓인 콩죽이 뽀글뽀글 내뿜는 냄새로 주방은 구수하다. 그런데 콩죽을 보니 꼭 두부처럼 생겼다. 디카를 콩죽에 들이대고 사진을 찍느라 야단 법석을 떨자 눈치를 챈 딸(22)이 하는 말,

"엄마, 아빠가 글 쓸 때 콩죽 사진을 두부라고 하는 게 아니야?"
"설마, 그럴 리가 있냐. 그러니께 자기, 글 똑바로 잘 써, 정신 차리고."

그래 맞다. 딸아. 콩죽과 두부가 같은 뿌리에서 나온 곡물로 만드는지 왜 모르겠느냐.

'까르르르, 깔깔' 아내와 딸의 대화가 콩죽처럼 뽀글뽀글 무르익는다. 몇 숟가락 퍼 먹었더니 출출하던 배가 벌떡 일어난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마차/포장마차  (0) 2007.01.30
겨울철 별미 매생이국  (0) 2007.01.29
파래김무침  (0) 2007.01.26
황태  (1) 2007.01.23
도치알두루치기  (0) 2007.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