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를 이기면 군자. 나를 이기지 못하면 소인.

http://www.ozmailer.com

나를 이기면 군자. 나를 이기지 못하면 소인.

2009. 03. 05. (목)

나를 이기느냐 이기지 못하느냐에 따라
군자와 소인이 판가름 난다.

克與不克 小人君子
극여불극 소인군자

- 장흥효(張興孝),〈신세잠(新歲箴)〉,《경당집(敬堂集)》

[해설]

위 구절은 조선 중기 학자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 1564∼1633)의 문집 《경당집(敬堂集)》에 실린 <신세잠(新歲箴)> 중 일부입니다. 이 글은 저자가 68세 되던 신미년(辛未年)에 새해를 맞아 마음을 새롭게 하고자 지은 잠(箴)입니다.

저자는 이 글에서 “산을 꺾을 기세로 분노를 다스리고, 구렁을 메울 기세로 욕망을 막으라. 분노와 욕망이 모두 사라지면 구름을 열치고 해가 나오리니. 문을 활짝 열고서 삿된 생각 안 먹으면, 온 세상 전 우주가 모두 내 집에 드네.”라고 이야기합니다.

또 “전날 나를 이기지 못했을 때엔 욕심에 빠져 있었지만, 이제 나를 이기고 나면 천리(天理)를 회복하리라. 나를 이기느냐 이기지 못하느냐에 따라 군자와 소인이 판가름 나니, 군자가 되려 하면 자신을 이겨야 하네.”라고 이야기합니다.

사람이 화를 내다보면 점점 걷잡을 수 없게 되어 산을 꺾을 기세가 되기 쉽고, 욕심을 내다보면 점점 불어나 구렁을 다 메울 기세가 되기 쉽습니다. 그렇게 되면 산을 꺾을 기세가 아니면 분노를 다스릴 수 없고, 구렁을 메울 기세가 아니면 욕망을 막을 수 없습니다.

분노가 자라기 전에, 욕심이 커지기 전에 그때그때 마음을 낮추고 비우는 것이 가장 좋은 수행법이라 합니다. 햇살처럼 따사로운 마음으로 분노와 욕망을 다스리기 좋은 계절, 봄이 오고 있습니다.

옮긴이
하승현(한국고전번역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와 품격  (0) 2009.03.25
돌을 사랑하는 뜻  (0) 2009.03.09
김수환 추기경님, 고맙습니다  (0) 2009.02.21
오래 묵은 먹  (0) 2009.02.18
두루미 엄마 물오리 엄마  (0) 2009.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