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따지

[오지로 떠나는 시간여행] (13)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신리

[오지로 떠나는 시간여행] (13)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신리

강원도 산골하면 생각나는 것이 있다. 화전민(火田民)과 너와집.

너와집은 강원도 산간에 고루 분포되어 있던 가옥의 형태지만 삼척의 신리는 너와마을로 특히 유명하다. 참나무 껍질로 지붕을 해 얹은 굴피집과 더불어 소나무 판자를 기와처럼 만들어 얹은 너와집은 강원도 첩첩산중의 대표적 전통가옥이다. 이제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몇몇 가옥을 빼면 주민이 실제 거주하는 집은 거의 없지만 아직도 토착민의 일부가 살고 있다.

▲ 신리와 가까운 대이리 골말의 한 너와집. 소나무 판자 기와 꼭대기 용마루 부분은 참나무 껍질인 굴피로 덮여 있다

한때 탄광으로 제법 사람들이 북적거렸던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흑백 영화의 한 장면처럼 시간이 멈추어 버린 듯한 이 폐광마을에서 동쪽으로 해발 800 고지의 통리재를 넘으면 강원도 산골의 전형적인 마을인 신리가 나온다. 화전으로 인한 산불이 잦아서였을까. 옛 이름이 부싯골이었다는 신리.50여가구에 100여명 정도의 주민이 척박한 지형 만큼이나 꺼칠한 환경에서 살고 있다.

“우리마을서 서울 갈라 치문 부산보다 더 멀었다 안해요. 그만큼 오지였다는거 아니래요? 여서 시내 갈라문 기본이 30리래요. 삼척까지 40㎞, 도계까지 12㎞, 가곡까지 12㎞, 태백까지 20㎞…. 모두 해발 1000m 가까운 재를 넘어야지요.” 이장을 지냈던 김종하(60)씨가 영화 ‘웰컴 투 동막골’에서 들었던 푸근한 강원도 사투리에 손짓까지 해가며 설명한다. 그러나 신리는 2002년부터 오지마을 티를 벗기 시작했다. 보존이 양호했던 김진호(작고)씨의 너와집이 지방문화재(중요민속자료 제33호)로 지정되면서 마을 사람들은 마을 이름을 아예 ‘너와마을’로 바꿨다. 산골마을의 체험 사업을 시작하고 인터넷을 통해 특산품을 판매하는 등 마을을 세상에 알리면서 ‘정보화’마을로 탈바꿈한 것이다. 정부와 자치단체로부터 정보화, 혹은 녹색체험 우수마을로 선정되어 받은 상금과 지원금으로 2000여평의 부지를 조성해 너와집 네 채를 새로 짖고 전통 화전민 너와가옥 한 채를 복원해 너와집 체험단지도 만들었다.

“본디 너와와 굴피는 공존하는 거래요. 너와를 굴피 용마루가 눌러 덮어줘야 하기 때문이지요. 마을 남자들 모두가 능에집(너와집) 기술자라 너와를 만들고 시공할 줄 알아요. 용인 민속마을, 청풍 문화재단지에 있는 너와집 보수를 우리 마을 사람들이 가서 하지요.”

▲ 지방 문화재로 원형 보존 중인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통방아. 원추형으로 굴피를 덮은 것이 특징이다 (왼쪽)


신리 너와마을 홍순만(52)씨가 너와집 체험을 위해 보존하고 있는 화전민 가옥에서 마을 청년에게 겨울철 ‘눈밭 위에서 신는 신발’인 설피만드는 법을 가르쳐 주고 있다. 오른쪽 벽에 붙어 있는 사람 코 모양의 것이 일종의 벽난로인 ‘코클(고쿨)’이다. (왼쪽에서 두번째)

집집마다 메주 띄우기가 한창이다. 따뜻한 아랫목에 나무기둥을 걸고 짚으로 메주를 감아 기둥에 매달아 띄우는 것이 이곳의 전통방식이라고 한다.(왼쪽에서 세번째)

마을 자랑에 열심인 홍순만(52)씨의 자부심이 대단하다. 그가 너와집 방안으로 안내를 한다. 겨울밤 차가운 공기를 마시다 들어서자 나무를 땔 때 나는 매캐한 냄새와 따뜻한 온기가 확 다가 온다. 너와집 내부의 방안 흙벽 모서리에 등불 겸 화로 역할을 하는 코클(고쿨) 탓이다. 매섭도록 차가운 겨울밤을 나기 위해 고안된 벽난로다.

너와마을의 특산품도 바뀌어 가고 있다. 농지가 거의 없어 ‘쌀을 사다 먹는’ 산골이라 특산품이래야 둥글레를 비롯한 산약초 몇 종류와 옥수수가 전부였지만 2003년부터 시작한 산머루 재배가 분위기를 바꿔 놓았다.‘머루와인’ 사업이 올 초 결실을 맺기 시작하면서 마을 사람들의 소득에 대한 인식도 바뀌기 시작했다.1만 5000평에 작목단지에서 지난해 첫 출하된 머루와인은 약 3000병. 모두 팔려 나갔다. 올해는 10t 정도의 열매를 수확해 8000병 정도의 머루와인을 생산할 예정이다.

“나무가 5년생이 되는 2008년에는 10억원 정도의 수익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상표등록도 추진하고 있고요. 주질(酒質)검사만 남겨 놓고 있지요. 제품 반응이 좋아 벌써부터 여기저기서 요구하는 곳이 많습니다.” 머루 작목반장인 김덕태(41)씨의 의욕 넘치는 말이다.

해발 1240m의 육백산 자락 산골마을이 새로운 희망을 잉태한 귀농마을로 거듭 나고 있다.

글 사진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