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늘에서 본 부봉(앞쪽)과 주흘산. 주흘산은 조령 일대 여러 산봉의 주산이자 문경의 진산이다. |
백두대간 상의 이화령(梨花嶺←伊火嶺?529m)에서 대미산(大美山←黛眉山·1,115m)에 이르는 조령산(鳥嶺山·1,026m) 구간은 이 일대 산봉의 주산인 주흘산(主屹山·1,106m), 조산(祖山)인 대미산 및 탄항산(炭項山·857m)·포암산(布巖山·962m) 등의 명산과 함께 고금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국계(國界) 또는 도계(道界) · 군계(郡界) 등의 지방경계를 이루고 있는, 행정·군사 상의 주요 영로(嶺路)인 이화령·조령(鳥嶺:650m)·하늘재(525m) 등이 자리한 요충지대다.
이 일대는 일찍이 고대시절에는 백제와 신라, 또는 고구려와 신라의 국경을 이루기도 했고, 조선시대에는 충청도와 경상도의 도계 및 연풍·충주와 문경의 군계 및 영남 지방의 경계를 이루었다. 현재도 충북와 경북의 도계 및 괴산군·충주시·제천시와 문경시의 시군계를 이루고 있다.
이 중 현대에 이르러 죽령과 함께 조령(새재)을 대신하여 영남 지방의 경계를 이루고 있던 이화령 고갯길은 현재는 모두 터널(tunnel), 곧 굴로(窟路)로 바뀌어 역사 속의 영로로만 인식되어 가고, 이제는 단지 여행객·유람객들의 탐방로로만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이화령 곧 이우릿재는 아득한 고개
조령산 남쪽에 위치한 이화령 속칭 이우릿재는 조선세종실록 지리지 문경조 및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대동지지(大東地志) 등의 역대 지리지 문경조 기록에 의하면, 조선시대에는 이화현(伊火峴)으로 표기하던 고개 이름인데, 그 의미는 분명치 않다.
|
▲ 조령 제2관문 조곡관. 조령관의 성을 고개에 있는 성이라 하여 영성(嶺城), 조곡관의 성을 중성(中城), 주흘관의 성을 초곡성(草谷城)이라 했다. |
현재의 ‘梨花嶺’ 표기는 조선총독부에서 1914~1918년에 걸쳐 조사 제작한 근세한국오만분지일지형도에서 잘못 표기한 것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것으로, 본래의 의미가 변질된 표기다. 1929년에 김유동이 저술 간행한 팔도명승고적 문경군조에도 伊火峴으로 표기하고 있음을 살 필수 있다.
이화령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119 병고(兵考)에 보이는, 조선 숙종 31년(1705)조 기사에 의하면, 이오령(伊吾嶺)으로도 표기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방언(方言) 상에서 이화령→아와령→이오령으로 전음(轉音)되어 일컬어지던 것을 소리 나는 그대로 표기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화령의 속칭 이우릿재도 이화령 부근의 동리 이름을 따서 이화리의 고개란 뜻으로 이화릿재라 일컫던 말이 이와릿재→이우릿재로 전음된 것이거나, 또는 이화(伊火)의 음과 훈(訓)이 혼용된 이불(벌)재, 이부릿재→이우릿재로 전음된 것이 아닐까 한다. 음과 훈이 혼용되어 일컬어지는 땅이름 용례는 우리 땅이름에 흔히 보이는 것으로, 예컨대 하늘재 동남쪽 문경읍 갈평리의 갈평(葛坪)도 속칭 갈벌이라 일컫기도 하는 것과 같은 예이다.
또는 이화령은 아득하다, 희미하다의 옛말 ‘입다’의 고형태인 ‘이블다(이울다)’에서 ‘이블’을 취하여 아득한 고개라는 뜻으로 이블재[伊火峴]라 일컫던 것이 전음되어 이울재→이우릿재라 일컫던 고개 이름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한다.
이화령은 1925년에 차가 다닐 수 있는 신작로로 닦이면서 북쪽에 위치한 조령을 대신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주요 교통로의 기능을 담당했고, 조령은 옛길의 하나로서 가벼운 등산과 산림욕을 즐길 수 있는 산책로로 변했다.
조령산은 북쪽으로 영남대로 상의 큰 고개인 조령과 남쪽으로 3번 국도 상의 큰 고개인 이화령을 거느리고 있는 문경의 큰 산이다. 조령산은 동국여지승람·대동지지 등의 연풍조 기록과 대동여지도에 의하면, 조선시대에는 공정산(公正山)으로 불리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산이 조령산으로 불리게 된 것은 아마도 조선총독부에서 이 산 북쪽에 위치한 조령관문의 지명도와, 국방상의 전략적 차원에서 이 산에 축성한 조령산성 등이 자리하고 있는 산이라 하여 근세한국오만분지일지형도에 이 산의 산명을 조령산(鳥嶺山)으로 표기하기 시작한 일제시대 이후의 일이라 추측된다.
조령산은 이화령 고갯마루에 서 있는, 충북과 경북의 도경계를 알리는 도계비 좌측 북쪽 10m 정도에 있는 등산로 입구의 안내판과 쉼터 사이로 난 길을 따라 약 70분 정도 오르면 쉽게 정상에 이른다. 그러나 등산로가 마루금을 따라 가는 능선길이 아니라 대체로 9부 능선길을 따라가게 되므로 먼 곳까지 조망해 볼 수 없어 조령샘 근처 삼거리 등의 안내판을 주의 깊게 보지 않으면 정상으로 가는 방향을 헷갈리기 쉽다.
조령은 죽령·계립령 이후의 새 고개
조령, 속칭 새재는 조령산 북쪽 백두대간 상에 위치한다. 예부터 영남쪽에서 이 고개를 넘어 충주를 경유해 한양으로 통하는 가장 크고 빠른 고갯길이었다. 새재는 조선시대 과거길에 올랐던 영남의 선비들이 급제의 꿈을 안고 넘었던 고개다. 그로 인해 새재 이남의 고을 이름을 영남 자제들의 경사스러운 과거급제 소식을 가장 먼저 듣게 되는 고을이라 하여 문경(聞慶)이라 했다는 속설까지도 생겨나게 됐다.
그러나 여지승람과 대동지지 등의 문경조 연혁에 의하면, 이미 고려 태조 때부터 이 고을 이름을 문희군(聞喜郡)이라 불러왔고, 고려 현종 이후 조선조 이전 시기에 ‘聞喜’의 기쁠 희(喜) 자와 유사 의미를 지닌 ‘慶’자로 고쳐 문경이라 불러온 것을 보면, 위의 지명유래는 아마도 부회되어 생겨난 속설일 것이라 추측된다.
|
▲ 새재계곡의 KBS 사극세트장. 조선시대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새재의 본명으로 정착되다시피한 ‘鳥嶺’이란 한자말 표기는 영월의 사자산 법흥사(옛 흥녕사) 경내에 있는 징효대사보인탑비(澄曉大師寶印塔碑)에 처음 보인다. |
새재의 한자말 표기에 있어서는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등의 앞선 시기 문헌에 초점(草岾), 여지승람·여지도서 등 조선 중·후기의 지리지 기록에 조령(鳥嶺), 신경준(申景濬·1712-1781)의 여암전서(旅菴全書) 산수고(山水考) 문경조에 신령(新嶺) 등의 표기를 살필 수 있다.
새재의 땅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대체로 이들 한자말 표기와 연관되어 설명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속설은 곧 조령과 연관시켜 ‘나는 새도 쉬어가는 험준한 고개’,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험하고 높은 고개’라 풀이하는 것이다. 또는 초점과 연관시켜 ‘새(억새 따위)가 우거진 고개’라 풀이하고도 있다. 여기서의 ‘새’는 곧 산과 들에서 자라는 띠나 억새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새재에 대하여 이미 고려시대부터 ‘草岾’이라 불러왔고,
또 새재 골짜기 들머리의 마을 이름을 조선시대에도 초곡방(草谷坊)으로 칭했고, 현재까지도 조령 제1관문 위쪽을 상초리(上草里), 아래쪽을 하초리(下草里)라 불러온 것을 보면, 이곳 조령 일원에 새(억새 따위)가 많아 뜻옮김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신령과 연관시켜 일찍이 신라 때부터 영로가 개통된 죽령·계립령이 옛 고개, 묵은 고개임에 대하여 이 고개는 새로 난 고개라는 의미로 풀이한다. 신경준은 일찍이 이 표기와 관련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 바 있다.
‘조령…신라 아달라왕이 이 영로를 새로 열었기 때문에 신령이라 했다. 방언에 조(鳥)의 해석(훈)을 새[新]라 하므로 鳥嶺이라 했다. 또 방언에 초(草)의 해석이 新[새]의 해석과 동일하므로 초점(草岾)이라고도 하였다.’
삼국사기 아달라이사금조에 의하면, 계립령은 아달라왕 3년에, 죽령은 5년에 개통됐다는 기사가 보이나, 같은 왕대이든, 다른 왕대이든 신라시대에 조령이 개설됐다는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때문에 신경준의 새재설(신령설)을 다 동의할 수는 없으나, 계립령·죽령의 옛 길에 대하여 새로 개설한 영로라는 의미로 새재[新嶺]라 했다는 견해에는 동의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이를 후대에 ‘鳥嶺’으로 표기하게 된 것은 주로 시인·묵객과 같은 표기자의 주관에 따라 좀더 우아하게 소리옮김한 표기로 볼 수 있다. 위의 설들은 대체로 다 일리 있는 말들이라 어느 설이 정설이라고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새재의 역사유적과 전설
백두대간 상의 새재 고갯마루에는 조령 제3관문인 조령관(鳥嶺關), 조령관 남쪽으로 조령산과 주흘산 사이에 형성된 계곡의 상초리 위쪽에 조령 제2관문인 조곡관(鳥谷關), 상초리 아래쪽에 조령 제1관문 주흘관(主屹關)이 위치하고 있다. 1966년 이들 3관문과 부속성벽이 사적 제147호로 지정됐고, 1981년에는 이 일대가 모두 문경새재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조령관의 성을 고개에 있는 성이라 하여 영성(嶺城), 조곡관의 성을 중성(中城), 주흘관의 성을 초곡성(草谷城)이라 했는데, 여지도서 문경조의 문경현지도에도 초곡성·중성의 이름이 보인다. 초곡성은 남쪽의 적을 막기 위해 조선 숙종 34년(1708)에 설관했다. 중성은 선조 27년(1594)에 충주 수문장 신충원(申忠元)이 단독으로 축성한 것이라 한다. 영성은 북쪽의 적을 막기 위해 선조 초에 쌓고 숙종 34년(1708)에 중창한 것이라 한다.
주흘관 안쪽에는 근래에 건립해 많은 관광객이 찾는 KBS 사극세트장이 있다. 근래에 왕건 드라마, 무인시대 등의 사극을 촬영한 곳으로 보통 왕건세트장이라 일컫는다. 조선시대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새재의 본명으로 정착되다시피한 조령이란 한자말 표기에 대해서는, 영월의 사자산 법흥사(옛 흥녕사) 경내에 있는 징효대사보인탑비(澄曉大師寶印塔碑)에, ‘대순 2년(891·진성 5년)에 대사(징효대사 절중·826-900)께서 상주 남쪽으로 피난해 잠시 조령에 머물렀다(大順二年, 師避地於尙州之南, 暫栖鳥嶺)’라 한 기록에 처음 보인다.
일반적으로 이 기록이 현 문경새재에 대한 최초의 한자말 표기라 보나, 징효대사가 상주 남쪽으로 피난한 후 조령에 잠시 머물렀다면 현 문경새재는 상주 북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조령은 현 문경새재가 아니고, 상주 남쪽으로 피난 가던 도중에 잠시 조령에 머무른 것이라면 여기서의 조령은 현 문경새재라 볼 수 있으나 문장 상으로는 분명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 기록 이외의 조선시대 이전 기록에서는 조령이란 표기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조선 초기의 고려사 지리지·세종실록지리지·경상도지리지 문경조 기록에는 모두 새재를 초점이라 기록하고 있고, 조령 표기는 동국여지승람 이후부터의 기록에서나 찾아볼 수 있을 뿐이다.
새재에는 많은 일화와 전설이 전한다. 그 중에서도 임진왜란 때의 명장 신립 장군과 병자호란 때의 명신 최명길과 관련한 전설이 유명하다. 임진왜란 때 대대적인 왜군이 서울을 향해 북상해 올 때 조정에서는 신립 장군을 삼도순변사로 임명하여 북상하는 왜군을 막으라고 충주로 내려 보냈다.
신립은 이 때 김여물 등 부장 몇 사람을 거느리고 조령으로 내려가 지형을 살펴본 후 아군의 수가 열세임을 들어 지형이 험준한 조령에서 잠복하여 전투를 벌이자고 주장하는 김여물 등 여러 사람의 견해를 뿌리치고 충주 남한강변 탄금대에 배수진을 치고 고니시 유키나가를 선두로 하여 대대적으로 공격해오는 왜군을 맞아 싸우다가 중과부적으로 대패하고, 신립은 김여물 등과 함께 남한강에 투신, 순절했다.
이에 대해서는 신립을 짝사랑하다가 자살한, 새재 골짜기에 살던 처녀 귀신이 원한을 품고서 꿈에 나타나 남한강변에 배수진을 치고 싸우라고 일러준 말을 그대로 믿고 따랐다가 잘못된 결과라는 전설이 전한다.
이에 반해 인조 때 영의정까지 오른 최명길은 새재 제1관문 옆 산기슭에 모셔져 있는 성황당 여신이 그를 보고 앞으로 큰 인물이 될 사람이라며 훗날 오랑캐가 쳐들어오면 종묘사직과 백성을 살피는 길은 화의밖에 없다는 여신의 조언을 듣고 그대로 실행하여 전란의 피해를 줄이고 더욱 훌륭한 명신이 됐다는 전설이 전한다.
월항삼봉은 봉수대가 있던 탄항산
조령에서 북쪽 마폐봉을 경유하여 동쪽 백두대간을 따라가면 현재 월항삼봉(月項三峯·857m)이라 일컫는 탄항산(炭項山)이 자리하고 있다. 탄항산은 ‘項’자가 유사자형인 ‘頂(정)’자로도 잘못 표기되어 동국여지승람 문경조 등에는 ‘탄정산(炭頂山)’으로 표기되기도 했으나, 이보다 앞서 이미 세종실록지리지 문경조에 탄항산으로 일컬어져 왔으며, 조선 후기의 여지도서·대동지지 등에도 이를 탄항산으로 바로잡아 놓아 현재까지도 탄항산이란 산 이름이 그대로 전하여 온다.
|
▲ 새재계곡 KBS 사극세트장의 가을. |
다만 현대에 이르러 발간된 각종 지도 상에 월항 마을 부근의 세 봉우리라는 의미로 누군가가 월항삼봉으로 잘못 표기한 이래 이 산이름으로 잘못 왜곡되어 많이 불리어지고 있음을 보게 된다.
탄항산의 탄항(炭項)은 아마도 변방·국경 등을 지킨다는 의미의 수자리 ‘수(戍)’자와 지키기에 알맞은 ‘목’이라는 의미의 ‘항(項)’ 자가 합성되어 ‘수항’이라 일컫던 것이 숫항→숯항으로 전음되어 숯 탄(炭) 자의 훈을 빌리어 뜻옮김하여 불리어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 걸맞게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의하면, 이미 조선 초기부터 이 산정에 봉수대가 시설되어 있었던 군사적 요충지였음을 살필 수 있다.
월항삼봉의 월항(月項)도 여지도서 문경조의 조령산성 기록에 의하면, 조선시대에는 음과 훈이 혼용된 달항(達項)으로 불리었음을 살 필 수 있다. 달항은 다시 달목→달매기로 전음되어 속칭되다가 현대에 이르러 다시 뜻옮김하여 월항이라고도 칭하게 된 것이다.
이의 본래 이름 달항은 아마도 ‘큰 목’이라는 의미에서 일컫던 큰 고개의 목이 되는 곳, 곧 평천재(월항재) 부근 959m 안부에서 한 줄기는 백두대간 줄기로서 서쪽으로 뻗어가고, 또 한 줄기는 남쪽으로 뻗어가 주흘산 줄기를 형성하고 있는 크고 중요한 산줄기의 목을 지칭하던 땅이름으로 추측된다.
계립령과 미륵대원 하늘재
조령 일대 여러 산봉의 주산인 주흘산은 문경의 진산으로서, 포암산이나 문경의 평천리 쪽에서 조망해보면 주봉(主峯·1,075m)에서 영봉(靈峯·1,106m)에 이르는 거대한 산줄기를 이룬 큰 산이 글자 그대로 제산의 군주처럼 우뚝 솟아 있다.
주봉 서쪽 중복에는 신라 문성왕 때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이 창건했다는 혜국사(惠國寺)가 자리하고 있다. 고려 말에 공민왕이 난을 피해 이곳에 와 머물렀다는 곳으로 이후 국은을 입은 절이라 하여 본래의 법흥사를 혜국사로 개칭했다고 한다.
탄항산에서 북동쪽으로 백두대간을 따라가면 고대사에서 매우 주목시되는 하늘재[大院嶺·519m]와 포암산(962m)이 자리하고 있다.
하늘재는 고대시절에는 계립령(鷄立嶺)으로, 또는 마목현(麻木峴)·마골점(麻骨岾) 등으로 불린 고개로, 삼국사기에 의하면, 일찍이 아달라왕 3년(156)에 개설됐다. 계립령의 계립(鷄立)은 껍질을 벗긴 삼대를 일컫는 우리말 겨릅을 소리옮김한 것이다. 겨릅은 곧 겨릅대의 준말이다. 마목(麻木)과 마골(麻骨)은 이 겨릅, 곧 삼대를 뜻옮김한 한자말이다.
필자는 한 때 이곳 하늘재길 일원에 혹시 삼나무가 많이 우거져 있지나 않나 하고 생각해 본 일이 있다. 그러다가 수년전에 대미산을 등산하기 위해 버스를 타고 문경 갈평리를 지나 여우목고개 방면으로 가다가 하늘재 북쪽의 포암산을 조망하게 되었다. 그 때 순간적으로 유래가 바로 저 산의 모습에서 비롯됐구나 하는 생각을 갖게 됐다.
이 산은 현재 속칭 베바우산(베바위산)이라 일컫고, 이를 한자말로 뜻옮김하여 포암산이라 일컫고 있다. 이는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하늘을 가득 채우고 우뚝 솟은 포암산이 마치 베[布]를 짜서 펼쳐 놓은 것 같이 암벽이 펼쳐져 있어 그러한 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그런데 필자의 눈에는 이 산의 모습이 우뚝 솟은 산의 하얀 암벽이 펼쳐져 있는 것이 마치 껍질을 벗긴 삼대가 죽 펼쳐져 있는 듯이 보였다. 최근에 포암산을 등산하기 위해 갈평리를 지나 관음리로 접어들어 하늘재를 오르면서 포암 마을 근처 뒤편에 우뚝 솟을 포암산을 가까이서 바라보자 더욱더 그러한 모습이 실감나게 연상됐다. 바로 포암산이 계립산이요, 마골산이었고, 그 아래에 위치한 고개가 계립령이요, 마골점이었던 것이다.
옛날 관음사가 있었던 문경 관음리쪽에서 하늘재를 넘어 미륵사지가 있는 충주 미륵리로 넘어가는 하늘재는 곧 현세의 관음세계에서 내세의 미륵세계로 넘어가는 고갯길을 상징하고 있는 것 같다.
하늘재 중복에 있는 미륵사지는 나말여초인 10세기 초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굴사원인 미륵대원터다. 전설상으로는 신라 말의 마의태자가 망국의 한을 품고 금강산으로 가던 길에 이곳에 머물며 조성한 사원이라 전해진다.
|
▲ 사적지로 지정된 조령 제1관문. |
미륵대원은 1978년 충청북도에서 이곳 절터를 발굴했을 때 발견된 ‘대원사(大院寺)’라 쓴 명문기와와 고려사 최이전(崔怡傳)에 ‘충주 대원사(忠州 大院寺)’라 언급하고 있는 내용 등에 의하면 절 이름이 대원사였음을 알 수 있다. 또 발굴 당시에 ‘미륵당(彌勒堂)’이라 쓴 기와 명문이 발견되고, 미륵당이라 일컫던 석굴금당에 높이 10.6m의 거대한 미륵석불입상을 봉안하고 있었던 점과, 삼국유사 왕력 아달라왕조에 ‘[계]립현([鷄]立峴)은 지금의 미륵대원 동령(東嶺)이 이 고개이다’라 언급한 대목에 의하면, 대원사는 일명 ‘미륵대원’이라고도 불린 것으로 보인다.
이곳 미륵대원터에는 현재 보물 제96호로 지정된 미륵석불입상과 보물 제95호로 지정된 5층석탑, 그리고 크기가 동양 최대로 일컬어지는 돌거북(귀부)과 절터 앞을 가르고 흐르는 개울 건너 거북바위라 불리는 암벽에 올려져 있는 온달장군의 공깃돌 등의 유적이 남아 있다.
온달장군 공깃돌은 지름 1m 가량의 둥근 돌로, 고구려 영양왕 때 온달장군이 신라에 빼앗긴, 계립현과 죽령 이서의 옛 고구려 땅을 수복하고자 이 일대에 와 머물 때 군사들에게 힘자랑하기 위해 공깃돌 같이 가지고 놀던 돌이라 전하여 온다.
현재 미륵대원터 동쪽 고개를 하늘재, 서쪽의 고개를 지릅재라 일컫고 있는데, 신라시대에는 하나의 고개 이름으로 통칭해 계립현이라 불렀던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 초에 이곳 중간 지점의 분지에 미륵대원(대원사)이 조성되면서 이후 대원사 동쪽의 고개를 대원사고개라는 뜻으로 약칭하여 대원령, 서쪽 고개를 옛 이름 그대로 계립현, 또는 계립령으로 일컫게 되면서 후대에 두 고개 이름으로 분리되어 불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세종실록지리지 연풍조에 의하면, 마골점 곧 계립령이 동쪽으로 문경 탄항에 응한다고 한 것을 보면 여기서의 마골점은 곧 지금의 지릅재를 지칭한 것이다. 왜냐하면 하늘재는 탄항 동쪽에 위치하므로 하늘재는 서쪽으로 문경 탄항에 응하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1915년에 조선총독부에서 제작한 오만분지일지도에서의 하늘재의 높이를 보면 한원령(限院嶺·하늘재) 519m, 계립치(鷄立峙·지릅재) 507m, 미륵대원 근처를 401m로 표기한 것을 볼 때 이들 세 곳의 높이는 고대에 큰 차이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늘재는 고려사 권24의 고종 42년조 기사 등에 의하면, 고려시대 이후로는 ‘대원령(大院嶺)’으로 불려온 것으로 보이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두 고개 이름이 분리된 것을 모르고 때로는 대원령을 고대시절의 고개 이름과 같이 계립령으로 혼동하여 보는 경우도 있었다. 예컨대 하늘재 동쪽 관음리에 있었던 관음원의 위치에 대하여, 여지승람 문경조에 ‘관음원 : 계립령 아래에 있다’고 한 경우다.
하늘재는 대원령이 훈과 음이 혼용되어 한원령→한월령→한월재→하늘재로 전음되어 불려온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지리지에서는 대체로 대원령을 계립령으로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때로는 소리 나는 그대로 주관적으로 기록하여 19세기의 정혼(鄭混)은 진재집(進齋集) 한훤관방방략(寒喧關防方略)에 한훤령(寒喧嶺)으로 기록하기도 했다. 대원(大院)의 원(院)을 훈독하여 에운담 곧 ‘울’로 읽으면 ‘한울’로 읽을 수도 있으므로 한울재→하늘재로 전음된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寒喧嶺·限院嶺등의 표기에 의하면, 하늘재는 전자와 같이 한원재의 전음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 같다.
김윤우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