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병 3만원짜리 빙하수는 어떤 맛일까

[Why] 1병 3만원짜리 빙하수는 어떤 맛일까
"눈 녹는 맛 난다"… 막연한 신비감 이용한 장삿속?
최승일·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 캐나다의 1만년된 고대 빙하에서 추출했다는 빙하수 '10 Thousand BC' / 연합뉴스

12일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1만년 된 고대의 빙하에서 추출한 빙하수 '10 Thousand BC'를 선보였다. 가격은 750mL 1병에 3만8000원, 350mL 1병에 2만9000원이다.
연합뉴스 5월 14일 보도



빙하수(氷河水)는 어디서 어떻게 추출하는 걸까. 1만년 된 빙하수는 어떤 맛일까. 이 물을 수입한 코니 컨설팅 심규빈 사장은 "캐나다 밴쿠버의 '포바 인렛(poba inlet)'이라는 지역에서 '10 Thousand BC'라는 업체가 직접 추출한 것"이라며 "6000피트(약 1830m)의 절벽에 헬리콥터를 타고 올라가서 빙하 사이에서 녹아 흐르는 물을 바다에 유입되기 전 수집한다"고 말했다. 취수 작업이 워낙 어려워 1달에 최대 750mL짜리 12만 병만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맛은 어떨까. 심씨는 "1만 년 전 대기가 순수했었던 상태에서 얼었던 물이기 때문에 순수하다"며 "혀가 예민한 사람들은 '눈 녹은 맛이 난다'고 한다"고 했다.

물의 맛은 물이 함유하고 있는 물질에 의해 결정된다. 철분이 많은 물은 약간 쌉쌀한 맛이 나고, 탄산가스가 포함된 물은 초정약수와 같이 청량한 맛을 낸다. 황을 함유한 물에서는 달걀 삶은 냄새가 난다. 물속에는 유기물질도 포함될 수 있는데 대부분 유기물질은 물맛을 나쁘게 하는 쪽이다.

그런가 하면 수돗물에서와 같이 살균소독제인 염소 냄새가 물맛을 나쁘게 하기도 한다. 광물질이나 유기물질들이 없는 물은 깨끗하고 시원한 맛이 난다. '볼빅(Volvic)'이라는 생수가 그런 편에 속한다.

이번에 선보인 빙하수는 빙하 사이의 분수계에서 녹아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빙하수를 바다에 유입되기 전에 수집한 것이다. 빙하는 모양과 형성 과정에 따라 구분된다. 남극과 그린란드의 빙하와 같이 대륙 전체를 덮고 있으면 빙상(氷床), 산지나 산 정상 전체를 덮고 있는 돔 모양의 빙하는 빙모(氷帽)라고 한다. 빙상의 일부가 바다로 흘러 들어 탁자 모양의 얼음 덩어리가 형성된 것은 빙붕(氷棚)이라 한다.

지면이 낮은 곳에 장기간 눈이 쌓이면 동결과 융해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주변 지형을 침식하여 반원 형태의 권곡(圈谷)이 발달하며 여기에 만년설이 두껍게 쌓여 권곡빙하(圈谷氷河)로 성장한다. 그런가 하면 히말라야, 알프스, 로키 산맥 등을 비롯한 고산 지대에는 권곡빙하가 계곡을 따라 설선고도 아래로 흘러내려 곡빙하를 형성한다.

지금 판매 중인 빙하수는 곡빙하가 녹은 물을 모은 것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이 빙하수에는 전년도나 수십 년 전에 내린 눈이 녹은 것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마지막 간빙기의 끝이 약 1만 년 전이므로 1만 년 전의 물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1만 년 전의 물은 신비감을 자아낸다. 사람들이 1만 년 묵은 물을 마시면 100년 묵은 산삼 효과가 날 것 같아 비싼 값을 치르고 사 마시는 이유는 바로 막연한 신비감 때문일 것이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슬기 수제비탕  (1) 2008.05.28
국수 손님상  (2) 2008.05.23
보리밥  (0) 2008.05.13
쑥개떡  (1) 2008.05.09
진도홍주  (0) 200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