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BC 7세기 철기유물 강원도 홍천서 출토

동봉 2007. 10. 22. 07:59

BC 7세기 철기유물 강원도 홍천서 출토

서기전 7세기 무렵의 철기 유물이 강원도 홍천에서 출토됐다. 한반도의 철기문화는 서기전 3세기 무렵 중국의 철기문화가 들어오면서 형성되었다는 그동안의 학설을 뒤엎는 것이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 BC 7세기 철기 유물
연합뉴스
특히 이 철기는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녹인 쇠를 틀에 부어서 만드는 주조 방식이 아니라 철기의 발상지인 서아시아 지역처럼 쇠를 두드려서 강도를 높이는 단조(鍛造) 방식으로 제작된 것이어서 철기의 전래 경로에도 새로운 연구 과제를 던져주었다.

강원문화재연구소는 국도 확장 공사 구간인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 일대 12만 6509㎡를 지난해 2월부터 발굴조사한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소형 단조 철기 1점을 수습했다고 21일 밝혔다.

지현병 연구실장은 “이 소형 철기는 제58호 주거지에서 무문토기 등 유물을 수습한 뒤 바닥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찾아냈다.”면서 “주거지에서 수거한 목탄(숯)을 시료로 서울대 기초과학공동기기연구원에 탄소연대 측정을 의뢰한 결과 BC 640∼BC 620년으로 통보받았다.”고 말했다.

지 실장은 “이 철기의 연대가 서기전 7세기로 확인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면서 “철기가 한반도에 출현한 시기를 훨씬 앞당길 수 있는 데다, 뚜렷한 정설이 확립되지 못한 청동기시대의 하한 연대도 결정할 수 있는 자료”라고 덧붙였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