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관청설명
관 청 명 | 해 설 |
가례도감(嘉禮都監) | 왕의 성혼·즉위, 또는 왕세자·왕세손의 결혼·책봉 같은 일을 맏아본 임시 관청. |
각감청(閣監廳) | 역대 임금의 초상화 봉안소(奉安所)를 수위하는 임무를 맡아본 관청. |
감공사(監工司) | 조선 말기의 관청으로 통리군국기무아문(統理軍國機務衙門)안에 두어 토목(土木)을 관리. |
감리서(監理署) | 개항장(開港場)·개시장(開市場)의 사무를 관리한 관청. |
감생청(減省廳) | 임오군란 이후 국가의 경비를 덜기 위하여 관상감(觀象監) 안에 설치한 임시 관청. |
감옥서(監獄署) | 죄인을 거두어 형벌을 집행했던 관아로, 전옥서(典獄暑)를 고친 이름. |
건영청(建營廳) | 서울의 각 관청을 재건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 |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 | 법률의 제정을 맡아본 관청. |
결속색(結束色) | 병조에 속하여 대궐 안이나 임금의 행차 때 떠드는 것을 금하는 일을 맡아본 관청. |
경리원(經理院) | 조선 말엽 왕실(王室)의 재산을 총관리 하였던 관청. |
경무청(警務廳) | 조선 말의 경찰 관청으로 경성 5부의 모든 경찰사무를 총괄하였음. |
경비사(警備司) | 호조(戶曹)에 예속된 3사의 하나로 서울 안에 있는 각 관청의 경비와 왜인(倭人)의 |
경서교정청(經書校正廳) | 성균관(成均館) 안에 설치되어 경서 출판을 맡아본 관청. |
경시감(京市監) | 시전(市廛)·도량형(度量衡)·물가조절 등을 맡아 보던 관청. |
경시서(京市署) | 물가의 조정·상인들의 감독·세과(說課)의 감독·저화(楮貨)의 유통을 맡아본 관청. |
경연원(經筵院) | 홍문관(弘文館)·예문관(藝文館)·경연청(經筵廳)을 통합한 관청. |
경연청(經筵廳) | 유교경전(儒敎經典)의 강론(講論)을 맡고 임금과 함께 사상(思想)을 토론하는 |
경위원(警衛院) | 궁전(宮殿) 내외를 경비하는 일을 맡아본 관청. |
계제사(稽制司) | 예조(禮曹)에 속해 의식·제도·조회(朝會)·학교·과거 등의 일을 맡아본 관청. |
고마청(雇馬廳) | 민간에서 징발한 말을 관리하던 관청. |
고율사(考律司) | 형조에 소속되어 법령의 조사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 관청. |
공상청(供上廳) | 사옹원(司饔院)에 예속되어 궁중의 음식, 생선과 채소를 공급하던 관청. |
6조(六曹)의 하나로 공업 또는 공사(工事)·영선(營繕 : 건축물을 신축하고 수선함) | |
공조서(供造署) | 궁중의 장식(裝飾) 기구(器具)를 맡아 보던 관청. |
공진소(供進所) | 조선 말 궁내부(宮內府)에 설치하여 식료품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 |
관리서(管理署) | 조선 말 전국의 사찰(寺刹)과 산림(山林)·성보(城堡) 등을 관리하던 관청. |
관보국(官報局) | 의정부에 예속되어 관보(官報)의 인쇄와 발행을 맡아보던 관청. |
관상감(觀象監) | 천문(天文)·지리학·역수(曆數 :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사무를 맡아 보던 |
관습도감(慣習都鑑) | 음악을 맡아 보던 관청으로 아악(雅樂)·향악의 모든 악기·악곡·악보를 정리하는 |
광주부(廣州府) | 남한산성과 광주를 관리하던 관청. |
광흥창(廣興倉) | 관리들의 봉급을 관리하던 관청. |
교방(敎坊) | 조선 때 궁내부에 교방사를 설치하여 속악(俗樂)을 맡아본 관청. |
교서관(校書館) | 경적(經籍) 등을 간행하고 반포하며 향축(香祝 : 제사 때 쓰는 향과 축문)· |
교정청(校正廳) | 조선 말 정치를 개혁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 |
구황청(救荒廳) | 흉년에 백성들을 구제하던 관청. |
국별장청(局別將廳) | 국왕의 시위(侍衛)와 감찰 임무 등을 맡아본 무관청(武官廳) |
군기감(軍器監) 군기시(軍器寺) | 모든 군사에 필요한 병기를 제조하고 무기를 조달하던 관청. |
군기청(軍器廳) | 병기·기치(旗幟) 기타 군수품(軍需品)을 만드는 일을 맡아본 관청. |
군무사(軍務司) | 군사면에 관한 직무와 이웃나라의 동정(動靜)을 살피는 일을 맡아본 관청. |
군부(軍部) | 조선 말의 군사상(軍事上) 최고 관청으로 국방에 관한 사무와 군정, 군인 |
군자감(軍資監) | 군수(軍需) 물자의 저장과 출납(出納)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 |
군직청(軍職廳) | 5위에 예속된 군관(軍官) 중에서 상호군 이하 사용(司勇) 이상의 무관이 |
궁내부(宮內府) | 조선 말 왕실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았던 관청. |
귀후서(歸厚署) | 종6품 아문(從六品衙門)으로 관곽(棺槨)을 제조, 백성에게 팔며 또한 장례(葬禮)에 |
규정소(糾正所) | 승려(僧侶)의 생활을 감독하던 관청. |
규장각(奎章閣) | 임금의 어제(御製)에 대한 글과 서화(書畵)·선보(璿譜 : 왕실 족보) 등을 관리하며, |
균역청(均役廳) | 균역법의 시행에 대한 사무를 담당한 관청. |
금화도감(禁火都監) | 방화(防火)의 임무를 띤 관청. |
관 직 명 | 해 설 |
나례도감(儺禮都監) | 종묘에 제사지낼 때나 외국 사신의 영접, 기타의 경우에 나례를 행하기 |
내무아문(內務衙門) | 조선 말 내무행정을 맡아본 중앙 관청. |
내병조(內兵曹) | 병조에 속하여 궁궐 안의 시위(侍衛)와 의장(儀仗)에 관한 일을 맡아본 관청. |
내부(內部) | 조선 말에 이조(吏曹)에서 하던 일을 계승한 중앙 관청. |
내빙고(內氷庫) | 왕실 전용(轉用)의 얼음을 관리하던 관청. |
내사복시(內司僕寺) | 궁전의 마구간과 임금이 타는 말을 관리하던 관청. |
내섬시(內贍寺) | 각 전(殿)과 궁(宮)에 제공할 음식물과 제물 등을 맡아보고, 2품이상의 관원에게 |
내수사(內需司) | 대궐에서 쓰는 물자를 공급하는 관청. |
내시부(內侍府) | 대전(大殿)의 수라(임금의 식사)상을 감독하고 임금(상감)의 분부를 전달하여 |
내의원(內醫院) | 대궐의 약과 화제(和劑 : 약의 처방전)를 다루는 기관. |
내자시(內資寺) | 궁내의 술·간장·기름·채소 등 물자를 공급하며 연회 등을 주관하는 관청. |
내장사(內藏司) | 조선 말에 내장원을 개칭한 것으로, 왕의 세전물(世傳物)·장원(莊園) 그 밖의 재산을관리하던 관청. |
농상아문(農商衙門) | 조선 말 농업과 상업에 관한 일을 담당한 관청. |
관청명 | 해 설 |
법무아문(法務衙門) | 조선 말에 사법행정·은사(恩赦)·복권(復權)·재판소의 관리를 주장하던 관청. |
6조(六曹)의 하나로 무관(武官)에 대한 인사문제·군사·우편·역(驛)·병기(兵器)등의 | |
봉상사(奉常寺) | 국가의 제사(祭祀)와 시호(諡號)에 관한 사무를 맡아 보는 관청. |
비변사(備邊司) | 조선 명종 10년에 창설하여 나라의 군사기밀과 그 계획 및 작전에 대한 군무(軍務)를총괄하는 관청. |
빙고(氷庫) | 궁중에 쓰일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를 관리하는 관청 |
조선시대의 관청명(사) | |
관청명 | 해 설 |
사간원(司諫院) | 임금의 잘못된 점을 올바르게 간(諫)하고, 간쟁(諫爭)·논박(論駁 : 잘못된 것을 말함)을 맡은 관청. |
사도시(司 寺) | 궁내의 쌀·곡식과 계자 등을 맡아보는 관청. |
사복시(司僕寺) | 궁중의 가마와 마필(馬匹)·목장(牧場) 등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1308년 태복시 (太僕寺)를사복시로 바꾸었다. |
사섬시(司贍寺) | 조선 태종 원년에 설치하여 숙종 때 폐지하였는데 저화(楮貨 : 종이돈)· |
사수감(司水監) | 전함(戰艦)의 수리와 운수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사역원(司譯院) | 외국어의 번역과 통역을 맡아보던 관청. |
사온서(司 署) | 궁중에 술을 만들어 공급하는 기관. |
사옹원(司饔院) | 임금의 식사(어찬)와 대궐 안의 음식 등을 맡아보는 관청. |
사재감(司宰監) | 궁중의 생선·고기·소금·땔나무 등 물자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 |
사직서(社稷署) | 나라의 근본을 지키는 신을 모신 기관. |
사축서(司畜署) | 가축 이외의 짐승을 기르는 일을 담당했던 관청. |
사포서(司圃署) | 궁중의 채소를 맡아 가꾸며 관리하는 기관. |
사헌부(司憲府) | 정사를 논하고 백관을 감찰하며 기강과 풍속을 발로 잡고 억울한 일을 살피는 관청. |
삼사(三司) | 조선 때 재정(財政)을 맡아보던 관청. |
삼사(三司) | 조선 때 사헌부(司憲府)·사간원(司諫院)과 홍문관(弘文館)을 합쳐 부르던 말로 관원은학식과 인망이 두터운 자로 임명하였다. |
상서원(尙書院) | 임금의 옥새(玉璽 : 도장)와 부패(符牌 : 마패·순패) 등을 관장하던 기관. |
상의사(常衣司) | 궁내부(宮內部)에 소속되어 임금의 옷을 관리하는 관청. |
생약포(生藥鋪) | 당약(唐藥) 무역을 맡아보던 관청. |
선공감(繕工監) | 토목(土木)과 영선(營繕 : 건축물을 짓거나 고치는 일)에 관한 행정을 맡아보는 관청.지금의 건설교통부와 같다. |
선전관청(宣傳官廳) | 왕의 측근에서 왕을 호위하고 명령을 전달하는 기관으로 여기에 종사하는 사람을선전관(宣傳官)이라 한다. |
선혜청(宣惠廳) | 조선 선조 4년에 창설되어 대동미(大同米)와 대동목(大同木) 등을 출납(出納) 하는 곳.이른바 세금으로 받은 쌀과 필육 등을 관리한다. |
성균관(成均館) |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유생(儒生)들에게 교육을 시키고 이들에게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 |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 왕세손(王世孫 : 임금의 손자)에게 교육시키며 강의하는 일을 맡아보는 관청. |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 | 왕세손(王世孫 : 임금의 손자)을 호위하고 보호하는 일을 맡은 관청.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 왕세자를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을 강의하며 도의(道義)를 가르치는 임무를담당한 관청. |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 세자를 호위하는 관청. |
소격서(昭格署) | 도교(道敎)의 일월성신(日月星辰)을 나타내며 하늘과 땅·별등에 제사하는 기관. |
수문장청(守門將廳) | 궁궐(宮闕) 문(門)의 수위(守衛)를 맡아보던 관청. |
수복청(守僕廳) | 묘(廟)·능(陵)·서원(書院) 등의 제사를 맡아보던 관청. |
수어청(守御廳) | 군영(軍營)으로,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축하고 그 부근을 중심으로 여러개의 진(鎭)을지키기 위하여 설치한 기관. |
승문원(承文院) | 다른 나라와의 외교 문서를 관리하는 관청. |
승정원(承政院) | 왕명을 받들어 거행하는 관청으로 지금의 대통령 비서실과 같다. |
실록청(實錄廳) | 실록을 편찬하던 임시 관청. |
조선시대의 관청명(아) | |
관청명 | 해 설 |
액정서(掖庭署) | 왕명의 전달과 임금이 쓰는 붓·벼루의 공급, 대궐 열쇠의 보관, 대궐 뜰의 설비 등을맡아보던 관청. |
양현고(養賢庫) | 성균관 유생(儒生)들의 식량을 공급하는 기관. |
어영청(御營廳) | 왕실(王室)을 호위하고 대궐을 지키는 일을 맡은 관청. |
영선사(營繕司) | 조선 말에 왕실 관계의 건축·토목에 관한 일을 담당하던 관청. |
예문관(藝文館) | 임금의 칙령(勅令 : 명령)과 교명(敎命)을 기록하는 왕명을 받들어 글을 짓고 문학을관장하는 관청. |
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고 연회를 베풀며 종실(宗室) 및 재상(宰相)을 접대하는 관청. | |
예조(禮曹) | 6조(六曹)의 하나로 예악(禮樂)·제사(祭祀)·향연(饗宴)·조례(朝禮)·학교(學校)·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 5위(五衛 : 군대 조직)의 군무(軍務)를 총괄하던 관청으로 병조에서 독립된 기관. |
용호영(龍虎營) | 궁중의 숙직과 왕을 호종(扈從 : 임금을 모시고 따라다님)하는 것을 임무로 하는 |
우정국(郵政局) | 조선 말 연해(沿海)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율학청(律學廳) | 형조(刑曹)에 소속되어 법전(法典) 운영의 전문적인 실무(實務)·교육(敎育)을 |
응방(鷹坊) | 매의 사육과 사냥을 맡아보던 관청. |
의금부(義禁府) | 왕명을 받들어 추국(推鞫 : 죄인을 심문함)하는 일을 맡았으며 형옥(刑獄)을 다스리고재판하는 기관. |
의빈부(儀賓府) | 공주(公主)나 옹주(翁主) 등과 결혼한 부마(駙馬 : 왕의 사위)들을 위하여 세운 관청. |
의영고(義盈庫) | 기름·꿀·후추·과일 등릐 물품을 관리하는 관청. |
최고 관청으로 고관들이 모여 국무(國務)를 상의하고 회의하며 모든 정치와 관리들을총괄하는 관청. | |
의흥위(義興衛) | 5위(五衛)의 하나. |
이재국(理財局) | 조선말에 재정(財政)에 관한 사무와 물품(物品)의 출납(出納) 업무를 담당하던 기관. |
이정청 | 군제(軍制)의 문란을 정리하고 군정(軍政)을 쇄신하기 위하여 설치했던 기관. |
6조(六曹)하 하나로 모든 문관(文官)의 인사(人事)를 담당하고 훈봉(勳封)에 관한 |
조선시대의 관청명(자) | |
관청명 | 해 설 |
자문감(紫門監) | 선공감(繕工監)에 속한 기관으로 시어소(時御所)의 각전(各殿) 각당(各堂)· |
장금사(掌禁司) | 감옥과 범죄 수사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
장악원(掌樂院) |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장예원(掌隸院) | 노예에 관한 문서와 재판 관계를 다루는 관청. |
장원서(掌苑署) | 궁중의 과실과 화초의 관리를 맡은 관청. |
장흥고(長興庫) | 유지(油脂)·종이 등을 관리하는 관청. |
전객사(典客司) | 예조(禮曹)에 소속된 관청으로 외국 사신에 대한 임금의 하사품등에 관한 일을 담당하였다. |
전생서(典牲暑) | 중중의 제사에 쓸 짐승을 기르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전선사(典膳司) | 조선 말에 궁내부(宮內府)에 소속된 관청으로 궁중의 음식·잔치등을 맡아 보았다. |
전설사(典設司) | 식전에 사용하는 장막의 공급을 담당하던 관청. |
전연사(典涓司) | 궁궐을 청소하는 일을 맡던 관청. |
전옥서(典獄暑) | 죄수를 가두는 곳으로 지금의 교도소와 같다. |
전운서(轉運署) | 조선 말에 각도의 세미(稅米)를 서울로 실어오는 일을 맡던 관청. |
전의감(典醫監) | 의술과 약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전함사(典艦司) | 배를 만들고 수리하며 관리하는 관청. |
전향사(典享司) | 연회(宴會)·제사(祭祀)·의약(醫藥)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
제용감(濟用監) | 마포·모시·나사(羅紗) 등 옷감을 맡아보고 또한 직조에 관한 일을 맡아보건 관청. |
제용사(濟用司) | 조선 말에 국내의 선수(膳羞)와 특산물(特産物)을 취급하던 관청. |
조지서(造紙署) | 종이를 만들고 관리하는 기관. |
존호도감(尊號都監) | 임금이나 왕비에게 존호를 올리게 될 때에 두었던 임시 관청. |
종묘서(宗廟署) | 침묘(寢廟)를 수호하고 정자각(丁字閣)을 지키던 관청. |
종백부(宗伯府) | 조선 말기 때 궁중(宮中)의 의식(儀式)·제향(祭享)·능침(陵寢)·종실(宗室)· 귀족(貴族)에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
종부시(宗簿寺) | 녹찬(錄撰)과 종실(宗室)에 대한 사무·왕실의 족보 등을 조사 연구하는 기관. |
종친부(宗親府) | 역대 국왕의 계보(系譜)와 초상화를 보관하고, 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며 모든 |
종학사(宗學司) | 왕족의 교육을 맡아 주관하는 관청. |
주전사(主殿司) | 조선 말에 궁내부(宮內府)에 소속된 관청으로 궁전(宮殿)·이궁(離宮)·쇄약(鎖 )· |
준천사(濬川司) | 서울 장안에 있는 재천과 사산(四山 : 서울을 둘러싼 산)을 관리하는 관청. |
중추원(中樞院) | 조선 초 왕명 출납과 병기(兵機)·군정(軍政)·경비(警備) 등을 맡아본 관청. |
직수아문(直囚衙門) | 직접 죄인을 감금하던 기관. |
집현전(集賢殿) | 왕실 연구기관의 하나로 경적(經籍)의 간행과 서적의 수집 등을 맡아보던 관청. |
조선시대의 관청명(차) | |
관청명 | 해 설 |
찬집청(撰集廳) | 시부(詩賦)를 초찬(抄撰)하여 제작하던 관청. |
춘추관(春秋館) | 기록문서를 관리하고 정치와 역사에 대한 기록을 작성하고 관리하는 관청. |
충훈부(忠勳府) | 국가에 공이 많은 신하들이 모여서 의논하던 관청. |
조선시대의 관청명(타) | |
관청명 | 해 설 |
탁지부(度支部) | 조선 말에 국가 전반에 걸친 재무행정을 담당하던 관청. |
탁지아문(度支衙門) | 조선 말에 재정·조세·국채·화폐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던 관청. 뒤에 탁지부로 개칭 |
통례원(通禮院) | 조하(朝賀)·제사(祭祀)나 임금을 회견하는 의식(儀式)에 관계된 사무를 담당한 관청.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 조선 말에 외교·통상사무를 담당하던 관청. |
통리군국사무아문 | 조선말에 통리내무아문을 개칭한 것으로 편민이국(便民利國)에 관한 일을 담당하던 관청. |
통리기무아문 | 조선 말에 군국 기밀과 일반정치를 총관하던 기관. |
통상사(通商司) | 조선 말에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의 소속기관으로 외국과의 통상사무를 |
조선시대의 관청명(파) | |
관청명 | 해 설 |
평시서(平市署) | 서울에 있는 시장(市場)과 물자에 대한 행정·말(두:斗)·자(척:尺)·저울 등의 도량형기(度量衡器)를 맡아 관리하던 관청. |
평식원(平式院) | 조선 말에 도량형(度量衡)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포도청(捕盜廳) | 도적을 잡고 수사하는 현재의 경찰청과 같은 기관. |
풍저창(豊儲倉) | 쌀·콩 등 곡식과, 거적자리·종이 등을 맡아 관리하던 관청. |
표훈원(表勳院) | 조선 말 훈위(勳位)·훈등(勳等)·연금(年金)·훈장(勳章)·기장(記章)·포장( 章)· |
조선시대의 관청명(하) | |
관청명 | 해 설 |
학무아문(學務衙門) | 조선 말에 교육을 관장하던 관청. |
학부(學部) | 조선 말에 학무행정을 맡아보던 관청. |
한성부(漢城府) | 서울 장안의 모든 행정을 맡아보는 관청으로 지금의 서울특별시청과 같다. |
6조(六曹)의 하나로 법률과 소송, 노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으며 지급의 법무부와같은 관청. | |
형조도관(刑曹都官) | 노비의 부적(簿籍)과 소송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혜민서(惠民署) | 의약(醫藥)과 일반 서민에 대한 치료를 맡아보던 관청. |
호위청(扈衛廳) | 임금을 호위하던 관청. |
호구(戶口)와 납세(納稅), 식량과 화폐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기관이며 지금의 | |
홍문관(弘文館) | 경적(經籍)과 문서(文書)를 다루고 왕의 고문에 응하는 관청. |
훈련도감(訓練都監) | 5군영(五軍營)의 하나로 서울 수비의 책임을 맡았으며 군인들을 교육, 훈련시키는 |
훈련원(訓練院) | 군사의 시재(試才)·무예(武藝) 연습·병서(兵書)와 전진(戰陣)의 강습을 맡아보는 관청.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