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따지

오지로 떠나는 시간여행] (16) 전남 구례군 유곡마을

[오지로 떠나는 시간여행] (16) 전남 구례군 유곡마을

오지의 마을이라면 으레 생활의 어려움으로 삶이 팍팍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오지이면서도 가구당 평균 5000만원이 넘는 고소득을 올리는 농가 마을이 있다.‘알짜 농가’의 주인공은 전남 구례군 구례읍 계산리 유곡마을. 산 비탈을 따라 내려오며 상유, 중유, 하유로 나뉘는 이 마을의 천수답 다랑이 논(계단식 논)에는 벼 대신 감나무, 배나무, 매화나무 등 유실수를 심었다.“한 번 먹어보랑께, 사과보담도 아삭거리고 달기넌 똑 꿀맛이시.” 마을 어귀서 첫 인사를 나눈 할머니가 단감 자랑을 하며 건네 준다. 지난가을 수확해 저장해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겉모습만큼이나 맛도 뛰어나다. 고소득을 올리는 이유다.

과수나무가 40여가구 100여명 주민의 주 수입원이 된 연유도 재미있다. 가뭄이 극심했던 1994년. 섬진강 물을 산 비탈 논에 끌어 들이려고 양수기로 12번을 중계하는 고생을 하다 당시 군수가 “차라리 과수를 심는 것이 낫겠다.”라고 한 말이 변화의 물꼬를 텄다. 긴 경사면의 토양은 배수가 용이한 데다 일조량까지 풍부하고 게다가 일교차까지 커 과실생산의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여기에 높은 산들이 병풍처럼 과수밭을 둘러싸 태풍으로 인한 낙과 피해도 적으니 그야말로 금상첨화다.

“95년에 감 낭구를 심었응께, 얼추 10년이 훨 넘어 부렀네. 군에서 배수관이다 뭐다 지원하고 나섬시로 도와주더만 인자 생각헌께 참말로 고맙고도 고마운 일이었지라.” 지난해까지 이장을 맡았던 김영두(70)씨의 말이다.

마을의 젊은 이장인 강대호(33)씨는 오지인 이곳을 이웃처럼 친근한 마을로 만들기 위한 계획을 착착 진행하고 있다.“농사 지으시는 어르신들의 연세가 이제 평균 70입니다. 농촌이 친근해지고 귀농인도 많아져야 발전이 있을 수 있지요.” 지난해 7000만원의 과수 매출을 올린 야심찬 젊은 농군의 말이다. 이를 위해 농촌체험마을에 선정돼 받은 3억원으로 초가집 복원, 민박시설, 식당, 공동화장실 건립 등을 해오고 있다. 친밀감을 느끼도록 이름도 마을의 특징인 돌담을 뜻하는 ‘다무락(담의 전라도 사투리) 마을’로 바꿔 부르고, 호응이 많았던 과실따기 등 재미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인터넷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겨울은 폴쌔 가뿟구마. 매화꽃 배꽃 피문 천지로 온통 새하얀기라. 무신 소문을 들었는지 화가들도 가끔 오지.”하동이 고향이라는 안종택(76)씨의 말에는 40여년을 이곳에서 살았어도 경상도 사투리가 남아 있다. 섬진강을 사이로 두고 말씨가 다른 지역적 특색 탓이다.

“아저씨 이것 함 맛 보실래요?”교육청 통학버스를 타고 읍내 학교에 갔다 온 차미선(10) 성미(9) 자매가 할아버지집 앞마당에서 치는 꿀통에서 꺼낸 천연꿀을 손가락으로 떼어 먹으며 천연덕스럽게 웃는다.

하유마을 맞은편에는 이백리 길을 굽어 흐른다는 섬진강이 눈앞에 펼쳐진다. 겨울이 가는 길목에 노랗게 퇴색한 갈대숲을 휘감아 도는 섬진강의 풍광은 풍수지리의 원전격인 ‘택리지’에 ‘사람이 살기 좋은 곳’으로 소개되어 있다는 구례의 이름값을 비로소 실감케 한다.

봄이 오는 길목. 남녘 산골마을이 봄 마중 채비에 분주하다.

글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기사일자 : 2007-02-26 18 면